검색결과
  • '인간속의 악마' 장 디디에 뱅상

    악마는 신과 대비되는 상징이 아니라 인간을 좌지우지하며 마음 속에 숨어있는 존재다. 이것은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인 장 디디에 뱅상의 주장이다.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 아니라는

    중앙일보

    1997.06.06 00:00

  • '하하 호호'도 적자생존 화나도 웃으면 명약

    인간은 왜 웃는가.웃음에도 이유가 필요하냐고 반문하는 이가 있다면 웃음이 유독 인간과 유인원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행동양식임에 주목해야 한다.웃음이 고등생물에게만 나타난다는 사실은

    중앙일보

    1996.11.23 00:00

  • 수능 앞둔 수험생 건강관리 요령

    대입수능시험이 한달 앞으로 다가왔다.수험생들에게 정작 중요한것은 지금 한 두시간 더 공부하는 것보다 시험 당일 최고의 컨디션을 지닐 수 있도록 마무리 건강관리에 주력하는 것.자칫

    중앙일보

    1996.10.07 00:00

  • 한국치매협회 창립에 부쳐...

    알츠하이머병이라는 노인성치매 질환은 21세기에는 인류가 당면할 최대의 보건문제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이미 미국에서는 4백만명 이상의 환자에 매년 10만명 이상이 사망해 성인 사망

    중앙일보

    1994.11.30 00:00

  • 운동의 생리적 기능

    운동은 우리 몸 속의 많은 생리적 기능을 동원한다. 우선 운동의 명령은 대뇌피질에서 시작하고 그 운동에 필요한 근육을 움직이도록 두정엽의 운동영역에 자극을 보낸다.그러면 운동신경을

    중앙일보

    1994.10.29 00:00

  • 10.기공과 인체변화

    기(氣)자체의 물질성 연구는 별도로 하더라도 기공(氣功)수련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가지 분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인간두뇌에 미치는 영향이고,다음은

    중앙일보

    1994.10.16 00:00

  • 난치성 간질 완치 희망 보인다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일단「간질」환자로 진단되면 주변사람은 물론 가족으로부터도 냉대받는 경우가 많다. 간질에 관한 불합리한 편견은 과학과 미신이 공존하는 모순투

    중앙일보

    1994.10.07 00:00

  • 초보적 讀心機 PET

    「사람의 마음을 읽는 기계」. 이는 결코 호사가들의 엉뚱한 발상이 아니며 실제 선진국에선 많은 연구가 진행중인 분야다.이른바 독심술기계의 주인공은 인체내 각종 대사과정을 살펴 질병

    중앙일보

    1994.06.28 00:00

  • 陽電子단층촬영기 국내 첫선-서울대병원

    첨단영상진단장치인 陽電子단층촬영기(PET)가 15일 서울大병원에 국내최초로 설치됐다. 기존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나 컴퓨터단층촬영(CT)이 눈으로 볼수있는 병만 살필수 있는데

    중앙일보

    1994.06.16 00:00

  • 봄철 졸음운전 대형사고 부른다

    운전중 피로하여 깜박 졸다가 위험을 아슬아슬하게 모면한 경험들이 한두번은 있을 것이다.휴식중에 잠깐 졸다 기분좋게 깨어난경우라면 문제가 되지않겠지만 운전중에는 그것이 치명적인 사고

    중앙일보

    1994.04.01 00:00

  • 4.건강구슬-전세일 연대교수

    全世一교수(57.延世大의대 재활의학)의 건강비법엔 독특한 철학이 깃들여있다.그것은 비법이란 용어자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평범한 생활 속에서 올바른 마음가짐과 행동을 지켜나가야 한다는

    중앙일보

    1994.01.28 00:00

  • 간질|김진수 교수

    34세 남자다. 지난해 6월 사고로 뇌출혈을 일으켜 한달 동안 입원 치료 후 거의 정상으로 회복됐다. 퇴원한지 3개월만에 혓바닥부터 경련이 나기 시작해 얼굴·팔다리 반쪽에 경련이

    중앙일보

    1993.01.09 00:00

  • (184)간질

    지난해 봄 신학대학생인 K양(23)이 간질증세로 병원에 왔다. 그녀는 10여년 전부터 한 달에 세 번 정도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경련발작이 있고(대발작), 또한 잠깐씩(1∼4초)

    중앙일보

    1992.07.22 00:00

  • 꼭꼭 씹기

    요즈음 사람들, 특히 젊은 층이나 어린이들일수록 음식을 씹지 않으려는 습관에 익숙해져 있다. 자연식보다 패스트푸드 같은 가공된 음식을 먹기 좋아하고, 또 마시거나 빨아먹는 음식을

    중앙일보

    1992.07.17 00:00

  • 노인성 치매 전문치료센터 세운다

    노화에서 비롯되는 대표적 질병인 노인성 치매(노망) 환자들이 내년 국내 처음으로 서울 등 3∼4곳에 설치될「치매전문센터」에서 집중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보사부는 6일 노인복지

    중앙일보

    1992.05.06 00:00

  • 고무제품 생산업체 여성근로자 52.5%가 "두통" 호소|부산 백병원 이채언 박사팀 432명 조사

    국내 고무제품 생산업체의 여성 근로자들 중 상당수가 유기 용매로 이용되는 유해 화학물질인 톨루엔에 노출돼 어지러움증·피부이상·불안 등 여러 직업성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샘플

    중앙일보

    1990.09.01 00:00

  • 노망원인 찾아 예방-치료 서둔다|서울대의대 서유헌 교수팀의 동물실험 성공으로 본 노인성치매

    90년대는 「뇌의 10년」(Decade of Brain)이라고 부시 미국대통령은 지난해7월 선언했다. 이 같은 선언은 뇌기능의 지장으로 일어나는 노망(노인성치매·알츠하이머병)에 따

    중앙일보

    1990.05.26 00:00

  • 평균 수명 110세 까지 늘릴 수 있다.|노화의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막을 수 있나

    생명체는 각자 예상된 수명을 가진다. 지금까지 기록된 각 생명체의 최장 수명은 소 30년, 염소 18년, 기린 33년, 돼지 27년, 말 46년, 인도코끼리 70년, 닭 30년,

    중앙일보

    1989.10.16 00:00

  • (3) 뇌

    척수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대표하는 뇌는 인간의 모든 감각과 행동과 지능을 다스리는 총사령부다. 어려운 문제를 풀어내고 옛날일을 기억해 내고 어떤 일을 계획하며 고민하고 사람하고 공

    중앙일보

    1986.12.03 00:00

  • 사람의 촉각은 부정확하다 | 미 프린스턴대팀 10여년 연구 실험

    사람은 착각의 동물이다. 시각(눈)은 초당 24장의 필름을 흘릴경우 그것을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감지한다. 또 머리위에서 어떤 소리가 크게 나면 실제로 그 소리가 뒤에서 난것

    중앙일보

    1986.09.02 00:00

  • (509)간질과 뇌이상

    어른에서 간질발작이 처음 나왔다면 그것은 뇌안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라는 얘기는 이미 썼다. 이때 뇌안의 이상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대발작뿐 아니라 초점발작·정신운동발작·자율신경발

    중앙일보

    1985.05.28 00:00

  • (504) 뇌의 구조와 기능

    뇌는 1.35㎏밖에 되지 않는 우리 몸의 작은 한 부분에 지나지 않지만 그 안에 마음을 담고 있어 우주전체를 내다볼 수 있는 신비한 기관이다. 뇌 안에는 1천억개의 신경세포가 10

    중앙일보

    1985.05.07 00:00

  • 노인관점염 온도·기압변화에 민감|장마철 인체생리와 건강관리

    장마전선이 오락가락 하고 있다. 인체는 혈액과 임파액등의 체액으로 이뤄지는 내부환경과 공기라는 외부환경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의 변화에 순용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자연의 극

    중앙일보

    1984.06.30 00:00

  • 뇌이식수술로 회춘기대

    ■…종교적인 문제, 윤리상의 문제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오던 뇌이식이 동물실험에서 활발이 연구되고 있다. 지난10월 일본순천당대학의 「아라이」 (신정강윤) 교수등은 금년 여름 쥐(래

    중앙일보

    1983.1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