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명산·특산의 고장 (5)|보령 갈포

    『철커덕, 철커덕』. 갈포 벽지 작업장 아가씨들의 손놀림이 재빠르다. 작업장안은 향긋한 마른 풋내가 그득하다. 나무로 된 북이 아가씨들이 추를 잡아당길 때마다 직조기의 좌우를 왕복

    중앙일보

    1972.11.10 00:00

  • 수목성장 해치는「전시」

    녹화사업을 벌이고 있는 각 시-도 행정당국이 전시효과에 치우친 나머지「시민 헌 수」 「기증자명단」등 팻말을 가로수나 고목 등 보호수의 몸통에 철사로 동여매고 못질을 해 나무의 성장

    중앙일보

    1972.09.22 00:00

  • (81) 구기차

    구기차 한방에서는 약재로, 가정에서는 차로 이용되는 구기자나무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뿌리·잎·열매 모두가 널리 이용된다. 예부터 장수에 효험이 있고 강장제로서 특

    중앙일보

    1972.09.13 00:00

  • 산하를 삼킨 수마|청평서 한강하류까지...물난리의 현장 공중 르포

    관상대 관측사상 최고를 기록한 평균 4백50mm의 집중폭우는 서울·경기지방을 너무나도 무참하게 짓밟았다. 남한강까지 범람하자 여주.·양평까지 침수, 한강유역의 피해는 더욱 혹심하다

    중앙일보

    1972.08.21 00:00

  • (4) 서울 백련사 엄나무

    해마다 6, 7월이 되면 한 그루 엄나무 꽃향기가 백련사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321) 1만5천여평의 널따란 경내를 메운다. 엄나무는 흔히 부르는 이름으로 해동목. 수령 4백60

    중앙일보

    1972.08.04 00:00

  • (2) 영주군 압각수

    경북 영주군 순흥면 내죽 2리 98. 금성단엔 수령 1천3백년 (영주 향토지 기록)을 넘었다는 은행나무 한 그루가 하늘을 가리며 서 있다. 노목의 이름은 압각수-. 밑둥치 둘레 8

    중앙일보

    1972.08.02 00:00

  • 해충 방제 대책

    「해충」은 구질구질한 곳에서 들끓기 마련이다. 물 가운데도 쉴새없이 흐르는 물에서는 해충이 나오지도 자라지도 번지지도 않는다. 흐르지 않고 괸 물, 괴어 썩은 물, 예컨대 유수지·

    중앙일보

    1972.06.30 00:00

  • 기지개 켜는 새움…화초 손질

    겨우내 싸주었던 장미 등의 볏짚을 풀어주고 화초의 씨를 뿌릴 준비를 할 때가 왔다. 먼저 땅을 될 수 있는 대로 깊이 일구어 비료를 섞어 풍화를 시켜야 한다. 장미는 필요없는 가지

    중앙일보

    1972.03.16 00:00

  • "창당일 실감도 안 나고…"

    박정희 대통령은 일요일인 6일 해운대를 떠나 대구로 오는 길에 포항 종합 제철에 들렀다. 박종태 종합 제철 건설 사무 소장의 「브리핑」을 듣는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공장이 완성된

    중앙일보

    1972.02.07 00:00

  • (12)나무할아버지

    이른 새벽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산1 임업시험장 뒷산. 가죽잠바에 방한복 바지를 입은 할아버지가 관목의 숲을 헤치고 있었다. 제주도산 「단팔수나무」 밑에서 긴 대나무 막대기로 나뭇

    중앙일보

    1972.01.27 00:00

  • 고유의 맛 잃지 않게「샐러드」3가지

    이제는 어느 가정에서나「샐러드」를 많이 먹게 되었다.「샐러드」는 본시 우리 나라 재래의 음식이 아닌데도 특히 손님상에는 으레 오르게 된 듯 싶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은 우리가 좀더

    중앙일보

    1971.08.20 00:00

  • 여름용 의자

    더위에 자칫 불쾌하기 쉬운 가족들의 감정을 부드럽게 해주고, 시원하게 앉을 수 있도록 여름철 의자를 따로 장만하는 것도 좋은 일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여름용 의자는 플라스틱으로

    중앙일보

    1971.06.01 00:00

  • 벽지

    봄은 집 안팎을 손질하는 계절이다. 특히 가족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따뜻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는 방안의 꾸밈새가 큰 역할을 한다. 방안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벽지는 최근 반자지와

    중앙일보

    1971.05.03 00:00

  • 유일한 천연기념물 망개나무 고사

    【청주】우리 나라에서는 단 한 그루뿐인 천연기념물 2백7호 망개나무(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산1)가 입산자들의 손에 껍질이 벗겨져 말라죽고, 동양에서는 진천과 괴산에서만 자라는 천

    중앙일보

    1971.04.30 00:00

  • (199)슈바이처 생가의 감명과 추억(1)

    이번 유럽 여행중 가장 인상 깊고도 크나큰 감명을 받은 것은 나의 일생의 스승, 아니 삼세(전세·현세·내세)에 걸친 영원한 『마음의 등불』이라 할 고「슈바이처」박사의 옛 고향 군스

    중앙일보

    1971.03.05 00:00

  • (4)이요섭|본사 독점수기

    문이 열리더니 중공 제AK-47소총을 든 6명의「베트콩」이 들어섰다. 이들은 나에게 조반을 날라다 주었다. 밥과 개구리 다리-.「메뉴」는 변함없었다. 하루에 두끼씩, 죽지 않을 만

    중앙일보

    1970.12.12 00:00

  • (62)할거하는 평원의 이색 동물들|김찬삼 여행기

    중부평원을 달리던 「버스」가 잠시 멎었을 때였다. 풀이 우거진 곳에 행여 짐승이라도 있지 않을까 하고 가보았더니 한길이나 되는 큰 「캥거루」 한 쌍이 새끼를 데리고 풀을 뜯어 먹고

    중앙일보

    1970.08.05 00:00

  • ①강화 화문석

    여름이면 그리워지는 시원한 멋이 있다. 하늬바람이 새어오는 대발, 깔끔한 꽃자리, 부채, 등의자, 밀짚모자, 모시옷 등 지금처럼 「에어컨」이나 선풍기가 없더라도 한더위를 씻을 수

    중앙일보

    1970.08.03 00:00

  • 한국식 원색의 조화 왕골공예

    왕골(완초)은 한국의 특산물. 그 수공품은 이조 때부터 농가의 부산물로 내려왔다. 우리 생활의 필수품처럼 된 돗자리나 바구니들, 그리고 지금은 없어졌지만 알록달록한 꽃신에까지 왕골

    중앙일보

    1970.07.18 00:00

  • 어제 창문 밖 마른 나무에 이쁜 새 울음 소리 들리더니 이 가지에서 저 가지 가야금 줄 타는 가락모양 날아다니며 나무 껍질을 연신 쪼아대는 걸 보더니 오늘 아침 새들이 쪼은 그 자

    중앙일보

    1970.04.29 00:00

  • 화폭에 살아난 충무공 이순신

    28일은 이충무공탄신 4백25주년. 이날을 며칠 앞둔 아산 방화산아래 현충사 앞뜰에는 봄꽃이 환하게 피었고 참배객들의 울긋불긋한 행렬이 종일토록 끊이질 않는다. 현충사를 성역화하여

    중앙일보

    1970.04.25 00:00

  • 지신의 건축「마욘」화산|김수삼 여행기

    달리는 열차 안에서 차창 담화를 나누는 것도 크나 큰 운치이다. 상대편이 이성일 때는 더욱 흐뭇할 밖에. 두어 달 이상이나 홀아비 살림을 하느라니 연애감정이 북바친다고나 할까. 이

    중앙일보

    1970.02.28 00:00

  • 요한을 찾습니다(2)

    여인-(가늘게 떨리는 목소리)젬마…! 청년-왜 그러시죠? 여인-아, 아닙니다. 청년-제가 실언을 했나요? 여인-(일말의 희망을 느낀다.)계속하세요. 청년-…? 여인-젬마라는 이름은

    중앙일보

    1970.01.10 00:00

  • 신춘「중앙문예」당선 소설|매일 죽는 사람-조해일 작·김송번 화

    일요일데도, 그는 죽으러 나가려고 구두끈을 매고 있었다. 그의 손가락들은 조금씩 떨리고 있었다. 마음의 긴강이 손가락 끝에까지 미치고 있는 모양이었다. 3년 동안이나 그의 체중을

    중앙일보

    1970.0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