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0)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 비의 수기는 계속된다.

    중앙일보

    1970.08.07 00:00

  • (79)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중앙일보

    1970.08.06 00:00

  • (78)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영친왕비의 수기-.

    중앙일보

    1970.08.05 00:00

  • (77)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영친왕은 생각하였다. 『그렇다.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에 다만 한 줄 쓰여지고 말 자기의 생애. 그렇지만 한국으로 돌아가 한국을 위해서 일할 자리가 어딘가 있지 않을까? 그것은

    중앙일보

    1970.08.04 00:00

  • (76)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45년 8윌 15일-이날은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는 날이었다. 그보다 먼저 「나스」(나수) 별장에 가있던 영친왕비는 동경의 공습이 더욱더 심해가고「히로시마」에는 필경 원자폭탄

    중앙일보

    1970.08.03 00:00

  • (74)|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그보다 먼저 영친왕이 제1항공 군사령관에 취임하자마자 서울로부터 윤홍섭씨가 왔다. 윤씨는 순종 왕비 윤 대비 마마의 친정 조카로 일찌기 미국 유학을 하였으며 설산 장덕수씨와의 친분

    중앙일보

    1970.07.31 00:00

  • (73)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그런데 이것도 그때 이우공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인데 영친왕은 동경 왕저 일실에 아무도 모르게 역대 임금의 신위를 모시어 놓고 한식과 추석에는 꼭 다례를 지내고 아들 「구」씨가 여섯

    중앙일보

    1970.07.30 00:00

  • (72)|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은 일본 육군 사관학교 제29기생인데 동창생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다재다능한 영친왕은 일본 무용과 가요 곡에도 취미가 많아서 상당한 지식이 있었다고 한다. 대판의 「다까라쓰까」

    중앙일보

    1970.07.29 00:00

  • (71)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40년 여름- 즉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기 바로 전 해에 동경 「히비야」 (일비곡) 공회당에서는 한성준 일행이 조선의 고전 무용을 공연하여 전문가들의 격찬을 받고 있었다. 한성준씨

    중앙일보

    1970.07.28 00:00

  • (70)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그런데 전국이 그처럼 가열하게 되기 전에 영친왕의 마음을 슬프게 하고 또 적어도 표면상은 행복하게 보이던 그의 등에 냉수를 끼얹은 사건이 하나있었으니 그것은 숙명여고생들의 내방이었

    중앙일보

    1970.07.27 00:00

  • (69)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재1항공군 사령관에 취임한 것은 1943년7월20일이었는데 태평양전쟁의 양상은 더욱더 가열해져서 일제는 그후 꼭2년만에 무조건항복을 하여 8·15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중앙일보

    1970.07.25 00:00

  • (68)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은 그해 12월에 육군중장에 승진하고 다음해 7월에는 우도궁 제51사단장에 임명되어 8월에는 벌써 부대를 이끌고 북지의 금주로 출발하였다. 소위 만주사변이 일어난지도 벌써 1

    중앙일보

    1970.07.24 00:00

  • (67)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당시 영친왕의 생각으로는 부의황제를 만나는 것이 그다지 달갑지 않았다. 부의황제는 다시 말할 것도 없이 대위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선통제의 후손이요 자기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중앙일보

    1970.07.23 00:00

  • (66)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만주국 황제 보의는 중국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선통제의 후신으로 손문의 삼민주의혁명이 성공하여 국민 정부가 탄생하게되자 황제의 지위에서 쫓겨나 오랫동안 천진에서 망명 생활을 해

    중앙일보

    1970.07.22 00:00

  • (65)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2·26 사건은 일본군끼리 싸워서 한 때는 동경이 불바다가 될 뻔하였으나 영친왕의 우도궁 제59연대가 반란 부대를 포위한지 이틀만에 항복하여 겨우 대란만은 면하였으나 그 사건이 끼

    중앙일보

    1970.07.21 00:00

  • (64)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36년에 일어난 소위 2·26 사건은 명치 유신 후 일본의 가장 중대한 사건의 하나였다. 그보다 먼저 1931년9월18일에는 일본 군부가 「만주사변」을 일으켜서 봉천의 군벌 장

    중앙일보

    1970.07.20 00:00

  • 해방에서 환국까지|인간 이은(63)/김을한

    쌓이고 쌓인 10년간의 괴로움 오늘 가시어, 소리 높은 아기 소리 아아 반갑도다. 이것은 둘째 아들 구씨를 낳았을 때 영친왕비가 읊은 화가인데 오래간만에 얻은 아들 구가 무럭무럭

    중앙일보

    1970.07.18 00:00

  • (61)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의 「구라파」여행은 1927년5월23일, 동경을 출발하여 그 이듬해 4월10일에 돌아왔으므로 거의 l년 동안을 여행한 셈인데 그때의 일을 방자비는 자신의 수기에서 다음과 같이

    중앙일보

    1970.07.16 00:00

  • (60)해방에서 환국까지- 김을한

    사실인즉 영친왕은 이준렬사의 무덤이 해방뒤에도 여전히 해아에 있는 것을 항상 마음 괴롭게 생각하여 필자를 보고 『왜 우리 정부에서는 이준렬사의 무덤을 속히 이장하지않느냐』고 말씀하

    중앙일보

    1970.07.15 00:00

  • (59)|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헐버트」 박사는 이 대통령을 위시하여 이화 대학의 「아펜셀라」 노양과 연희 대학의 「언더우드」씨와 YMCA의 「피치」 박사를 어서 만나보고 싶다고 몇번이나 되풀이 해 말하는 것이

    중앙일보

    1970.07.14 00:00

  • (58)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이윽고 「워싱턴」발 AP전보는 「헐버트」박사가 이대통령의 초청으로 한국 서울로 떠났다는 것과, 출발을 앞두고 「헐버트」박사는 『나는 「웨스트민스터」사원보다도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

    중앙일보

    1970.07.13 00:00

  • (57)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8·15 해방이 되어 독립만세의 우렁찬 소리가 3천리 방방곡곡에 소용돌이칠 때 무엇보다도 먼저 필자의 머리에 떠 오른 것은 해외에 있는 망명영수들의 모습이었다. 미국의 이승만 박사

    중앙일보

    1970.07.11 00:00

  • (56)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이야기가 여기에 이르자 영친왕은『그러면 해아 밀사의 고문으로 따라갔던 「헐버트」 박사는 그 후 어떻게 되었는가?』 고 물으셨다. 즉 이준 열사는 해아서 자결하고, 이상설씨는 해삼위

    중앙일보

    1970.07.10 00:00

  • (55)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고 왕실에 지극히 충성된 충정공 민영환 선생이 세상을 떠난지 얼마 아니 되어서 한가지 전무후무한 기적이 발생하였으니, 그것은 선생이 자결하신 피묻은 옷에서 「혈

    중앙일보

    1970.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