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린스만호 완전체...외국인 코치진 전원 입국
외국인 코치가 모두 입국하면서 클린스만호는 완전체가 됐다. 연합뉴스 클린스만호 코칭스태프가 마침내 '완전체'를 이루면서 본격적으로 출항 준비에 돌입했다. 위르겐 클린스만(5
-
클린스만 "1-0보다 4-3 공격축구...SNS 사퇴 발표는 실수"
'KOREA'가 새겨진 머플러를 들고 환하게 웃는 클린스만 한국축구대표팀 감독. 연합뉴스 “난 공격수 출신이다 보니 1-0 승리보다 4-3 승리를 선호한다.” 위르겐 클린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신입생들의 자유를 기원한다, 생존 너머를 상상하라
━ 2023년 새 학기, 대학 새내기들에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1980년 서울대 신입생이었던 어떤 이는, 그해 봄을 잊을 수 없다. 쿠데타로 집권한 신군부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어른’ 김장하, 어떤 시민의 일관된 궤적
━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시민사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여기 한 사람이 있다. 김장하라는 사람. 한약방을 하며 번 100억이 넘는 큰돈을 흔쾌히 기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새해 아침 큰 만두를 먹는다, 잠시나마 위대해진다
━ 2023년, 나만의 신년 예식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전보다 더 많은 편의를 누리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전보다 더 작아졌다. 영웅은 역경과 더불어 탄생하는 법
-
불안의 시대에 용기와 위로를
━ 책으로 돌아본 2022…서점가 한 해 결산 한 해가 가고 한 해가 온다. 마음 끌리는 책을 펼치는 건 어수선해지기 쉬운 이맘때를 보내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화제의
-
불안의 시대에 위로와 용기를...소설 강세 두드러진 2022출판계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 서점. 마스크를 쓴 시민들의 모습이 보인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이 수그러들면서 올해 우리 사회는 조금씩 일상의 활력을 되찾았다. 하지만
-
[마음 읽기] 서재, 도서관, 동네책방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서재는 누구의 것이든 흥미롭다. 그중 작가나 열성 독자의 서재를 구경하는 게 가장 재밌는데, 이는 그가 살아온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기 때문이다. 파노라마처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공감하라→분석·종합하라→경우의 수를 상상하라
━ 이해란 무엇인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많은 경우, 이해란 공감을 뜻한다. 그러기에 “난 널 이해해”란 말은 위로가 된다. 누구에게도 공감받지 못해서 외롭던
-
한국,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종합 2위…IT 직종서 강세
지난 27일(현지시간) 폐막한 국제기능올림픽 특별대회 오스트리아서 기념 촬영하는 어수봉 국제기능올림픽 한국위원회 회장(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오른쪽부터), 박성규 선수(중장비정
-
[문장으로 읽는 책] 김영민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내가 존재, 그러니까 무(無)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체감한 것은, 아득한 옛날의 어느 날 밤이었다. 그날은 내가 ‘사람’이 된 날이었다. 무의 아우
-
[문장으로 읽는 책] 김영민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장자는 마침내 마음의 지옥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찾아낸 것 같다. 아내가 죽자 장자는 슬퍼하기는커녕 통을 두드리며 노래한다. 애도는 하지 못할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자에 의한 인문학적 설득
━ 위기의 인문학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이른바 인문학 위기는 이제 상식이 되었다. 현직 대통령이 대선주자 시절 “인문학이라는 건 공학이나 자연과학 분야를 공부하
-
[인사] 교육부 外
◆교육부 ▶교육안전정보국장 박성민 ▶부이사관 임용빈 ▶운영지원과장 이강복 ▶고등교육정책과장 박준성 ▶사립대학정책과장 유희승 ◆글로벌이코노믹 ▶산업부장 부국장 김영민 ▶편집부장
-
이수만 없는 SM 미래 묻자…모두 “익명인가요?”부터 물었다 유료 전용
■ 📌티저 「 이수만 없는 SM. SM 관계자들에게 그동안 이 질문을 던지면 입을 맞춘 듯 똑같이 답했다. “아직 매우 건강하시다.” 이수만 없는 SM은 금기어였다. 붕어빵엔
-
“이수만, 방 불러 현금으로 용돈 준다”…SM 실세 최정예 그들 유료 전문공개
■ 📌티저 「 ‘이왕 들어왔으니까 어떻게든 버텨봐라. 여긴 버티는 게 이기는 데야.’ SM을 보면 드라마 ‘미생’의 이 대사가 딱이다. 버티는 자가 곧 이수만의 사람이 된다.
-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공산당선언』 『자본』이 유네스코 기록유산이었네요
━ 마르크스 엥겔스 도서전에 가보니 서경호 논설위원 “마르크스 사상은 창당, 건국 및 흥당흥국(興黨興國)의 근본적인 지도 사상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내게 돈이 많다면…
━ 세상을 바꾸고 싶을 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내게 돈이 좀 많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가 가끔 있다. 과하게 비싼 소고기를 볼 때 그렇다. 비싼 자료를 발
-
[마음 읽기] 못생긴 외모에 관하여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지난주 어떤 커플의 결혼식에 갔다가 거슬리는 말을 들었다. 하객들이 “여자는 예쁜데 남자는 못생겼다”는 말을 서슴지 않는 것이었다. 요즘 젊은 층 사이에선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정신승리란 무엇인가
━ 불편한 현실 수용법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나도 정신승리 좋아한다. 그 어느 곳보다도 집을 좋아하는 나에게, 정신승리는 적성에 맞다. 오늘도 침대 위에서 중얼
-
육군 특전부사관 1등은…체력 측정 '특급' 찍은 이 여군이었다
26일 경기 광주시 육군특수전학교에서 열린 '53기 3차 특전부사관 임관식'에서 육군특수전사령관 소영민 중장이 수석으로 임관하는 박미래 하사에게 육군참모총장상을 수여하고 있다.
-
기후변화·저출산 예산, 잘 쓰이는지 계속 감시해달라
━ 독자위원회, 중앙일보를 말하다 중앙일보 독자위원회 8월 회의는 지난 23일 김준영 위원장(성균관대 이사장) 사회로 진행됐다. 비대면 화상회의였다. 위원들은 지난 한 달
-
'여동생 10년 성폭행' 법정 선 오빠…무죄 선고에 오열한 까닭
중앙포토 8살 터울 여동생을 10여년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30대가 무죄를 선고받았다. 19일 수원지법 안산지원 형사1부(부장판사 김영민)는 친족 관계에 의한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목적이 없어도 되는 삶을 위하여
━ 나는 왜 산책을 하는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나는 산책 중독자다. 나는 많이, 아주 많이 걷는다. 나에게 산책은 다리 근육을 사용해서 이족 보행을 일정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