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종, 명성황후 시해 악몽 시달려"

    "고종, 명성황후 시해 악몽 시달려"

    100년 전 을사조약 체결 당시 한반도 주둔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사진) 대장이 강압적으로 조약 체결을 밀어붙였던 정황을 스스로 기록한 문건이 발견됐다. 하

    중앙일보

    2005.11.16 05:12

  • 100년 전 치욕에서 배워야 할 것은

    100년 전 치욕에서 배워야 할 것은

    18일은 을사조약(이하 을사늑약)이 체결된 지 100년이 되는 날이다. 1905년 11월18일. 한국인이라면 잊어선 곤란한 치욕의 날이다. 그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자는 차원에서

    중앙일보

    2005.11.15 19:30

  • 일본 대장, 덕수궁 코앞에 있다 들이닥쳐

    일본 대장, 덕수궁 코앞에 있다 들이닥쳐

    서울대 국사학과 이태진(62.사진) 교수. 한국학술단체연합회 회장이기도 한 그가 요 몇년 사이 매달리고 있는 주제가 있다. 일본의 한국 병합의 강제성을 밝혀내는 것. 이미 철 지

    중앙일보

    2005.11.10 21:57

  • 고종,근대화 이끈 계몽군주인가 무능한 봉건군주인가

    고종,근대화 이끈 계몽군주인가 무능한 봉건군주인가

    한영우 교수.[자료사진=중앙포토] "패자는 말이 없다고 하지만, 대한제국의 경우는 다르다. 제국주의의 희생물이 된 대한제국의 멸망을 대한제국 자체에서만 찾는 것은 폭력을 정당화하는

    중앙일보

    2005.10.28 13:14

  • [시론] 포츠머스 조약의 역사적 교훈

    [시론] 포츠머스 조약의 역사적 교훈

    올해가 '을사보호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지 100주년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 하지만 그 배경에 100년 전 바로 오늘 새벽(미국시간으로는 9월 5일 오후) 미국 뉴햄프

    중앙일보

    2005.09.05 21:05

  • [문화 노트] 고 이구씨 '황세손' 호칭 이래저래 성급

    대한제국 황손(皇孫) 고 이구(李玖)씨 장례식은 성대히 끝났지만 몇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우선 호칭 문제다. 문화재청과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은 그의 타계 사실을 알리며 '대한제국 마

    중앙일보

    2005.07.26 05:30

  • '황세손 양자' 놓고 종친들 몸싸움

    '황세손 양자' 놓고 종친들 몸싸움

    ▶ 의친왕의 11번째 아들인 이석씨가 22일 오후 황세손 이구씨 빈소가 마련된 낙선재 앞 마당에서 “양자 입적은 원천 무효”라며 반발하고 있다. 신원주 인턴기자▶ 조선 왕실서 쓰던

    중앙일보

    2005.07.23 04:30

  • 의친왕 손자 이혜원씨 고궁박물관 연구위원

    의친왕 손자 이혜원씨 고궁박물관 연구위원

    문화재청은 24일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아들인 의친왕의 손자 이혜원(50.본명 전혜원)씨를 국립고궁박물관의 연구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이씨는 앞으로 의친왕 후손들의 가계와 가족사를

    중앙일보

    2005.05.25 05:05

  • [행복한 책읽기] 고종 폐하, 이제 입을 여소서

    [행복한 책읽기] 고종 폐하, 이제 입을 여소서

    '고종황제 역사청문회' 교수신문 기획·엮음, 푸른 역사 267쪽, 1만3000원 ▶ 가정사뿐 아니라 정치.외교에서도 고종의 반려자였던 명성황후의 시해 사건을 다룬 창작 뮤지컬 "명

    중앙일보

    2005.05.13 20:34

  • 고려대 개교 100주년

    고려대 개교 100주년

    ▶ 고려대 개교 100주년(5월 5일)을 맞아 3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 대학총장 포럼’에 참석한 각 대학 관계자들이 전통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이 나

    중앙일보

    2005.05.04 05:14

  • "역사에서 잊혀진 대한제국 공사관 되찾읍시다"

    "역사에서 잊혀진 대한제국 공사관 되찾읍시다"

    ▶ 대한제국 공사관 재구입 운동을 벌이는 평화교회 이동현 목사(왼쪽에서 둘째)와 신도들. 강정현 기자▶ 1900년 전후의 대한제국 공사관.▶ 2004년의 대한제국 공사관 모습. "

    중앙일보

    2005.05.02 04:52

  • [노트북을 열며] 남 알기, 나 알리기

    100여 년 전 외국인이 한국과 일본을 어떤 눈으로 봤는지 조사해 보면 정말 속이 많이 상한다. 조선(대한제국)이 외국을 얼마나 알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면 속이 더 끓어오르고, 그

    중앙일보

    2005.04.12 20:44

  • [내 생각은…] 덕수궁 석조전을 역사자료관으로

    최근 덕수궁 석조전 동관을 국립근대미술관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식 확인 절차 없이 한 미술계 인사의 언론플레이로 진행되고 있는 것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한다. 덕수궁 석조전 동

    중앙일보

    2005.04.11 20:51

  • [대한민국 독도] 대한제국이 시마네현보다 먼저 영토 선언

    [대한민국 독도] 대한제국이 시마네현보다 먼저 영토 선언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강변하는 일본 측 논리의 근거는 1905년 작성된 '시마네현 고시 40조'다. 일본 측은 "1905년 1월 28일 당시 일본 내각이 독도를 자국령으로 결정했고

    중앙일보

    2005.03.17 07:28

  • "일제강점, 축복 아닌 기회 박탈"

    "일제강점, 축복 아닌 기회 박탈"

    "20세기초 우리에게 '자력 근대화' 가능성이 없었기 때문에 어차피 외세에 침탈당할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은 지극히 패배적인 역사인식일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검증되지 않은 주장입

    중앙일보

    2005.03.09 13:38

  • "일제강점, 축복 아닌 기회 박탈"

    "일제강점, 축복 아닌 기회 박탈"

    ▶이태진 교수 "20세기초 우리에게 '자력 근대화' 가능성이 없었기 때문에 어차피 외세에 침탈당할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은 지극히 패배적인 역사인식일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검증

    중앙일보

    2005.03.09 11:26

  • 독도협회 "침략적 발언 즉각 철회를"

    독도연구보전협회(회장 김학준)는 24일 "독도는 일본땅"이란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 일본대사 발언과 관련, "우리 국토에 대한 침략적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우리 국민에게

    중앙일보

    2005.02.24 18:54

  • [멕시코 이민 100년] 中. 에네켄으로 모은 독립 자금

    [멕시코 이민 100년] 中. 에네켄으로 모은 독립 자금

    ▶ 1920년대 시틴캅첸 농장에 세워진 한글학교의 어린이들. 가운데 검정 옷 아이는 책을 들고 있다. 어린이들의 표정이 다부진 게 인상적이다.▶ 한인 1세대가 당시 미국에서 독립운

    중앙일보

    2005.02.21 18:42

  • 국사학계 - 경제사학계 맞대결

    국사학계 - 경제사학계 맞대결

    ▶ 대한제국 때인 1900년 고종(가운데)과 내각신료들의 모습. 고종(1852~1919) 평가를 둘러싼 논쟁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 지난 7월 이태진(서울대.한국사) 교수의 '고종

    중앙일보

    2004.10.20 18:03

  • 조선 말기 고종시대 평가 싸고 불꽃 논쟁

    조선 말기 고종시대 평가 싸고 불꽃 논쟁

    조선 말기 고종 시대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놓고 국사학자와 경제사학자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논쟁은 최근 정치 쟁점으로 등장한 친일파 청산 문제와도 직접 관련된다

    중앙일보

    2004.09.08 17:55

  • [분수대] 헐버트 박사

    [분수대] 헐버트 박사

    55년 전인 1949년 7월 29일 인천항. 미국에서 온 '프레지던트 헤스'호에서 백발이 성성하고 키가 작은 87세의 미국인 노인이 국군 의장대의 사열을 받으며 내렸다. 1909

    중앙일보

    2004.08.04 18:45

  • [사람 사람] "헐버트 박사의 한국 사랑 잊지 말자"

    [사람 사람] "헐버트 박사의 한국 사랑 잊지 말자"

    ▶ 김동진 사장이 헐버트 박사의 저서 ‘대한제국 흥망사’에 실린 사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년간 한국에 살았던 헐버트 박사의 삶에는 한국의 근대사가 녹아 있습니다. 조선의

    중앙일보

    2004.05.24 18:17

  • [분수대] 친일파 홍사익

    "나의 죄악을 말갛게 씻기시며 나의 죄를 깨끗이 제하소서…내가 죄악 중에 출생하였음이여 모친이 죄 중에 나를 잉태하였나이다." 1946년 9월 26일 필리핀 교도소 교수대. 일본제

    중앙일보

    2004.03.03 18:38

  • '을사5적' 매국의 원흉, 이완용

    '을사5적' 매국의 원흉, 이완용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 학부대신 이완용의 주도하에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다. 전국적으로 반대 운동이 확대되면서 분노한 군중들은 이완용의 집에 불을 질렀고, 을사조약의

    중앙일보

    2004.02.11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