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구시 인구 총 2백49만9백60명

    지난해 12월31일 현재 대구시의 인구는 총 2백49만9백60명으로 조사됐다. 대구시가 지난해 12월31일을 기준으로 조사한 주민등록부에 의한 인구수는 남자가 1백25만3천2백63

    중앙일보

    1997.03.07 00:00

  • 부산시 인구 91년 이후 계속 감소

    부산시 인구가 지난해 또 줄어들었다.공업용지와 택지난으로 인근 양산.김해등으로 떠나는 공장과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26일“96년말 부산시 주민등록 인구는 3백87만8

    중앙일보

    1997.02.27 00:00

  • 장애인.독신자 전용아파트 생긴다-서울시 내년말부터 매년 100가구 공급

    노인이나 장애인.독신자등에 적합하게 설계된 전용아파트가 해마다 1백가구씩 지어져 내년말부터 공급된다. 서울시는 18일“노인.장애인등을 위해 올해부터 내년까지 도시개발공사가 시행하는

    중앙일보

    1997.02.19 00:00

  • 가야산 골프장 건설싸고 2년째 진통

    국립공원 가야산 자락을 생활터전으로 삼아 오순도순 정겹게 살던 경북 고령.성주 군민들은 요즘 바로 그 가야산 때문에 틈이벌어져 있다. 성주군이 산허리에 골프장을 유치하려는데서 시작

    중앙일보

    1996.10.07 00:00

  • 노인복지와 부양비 청구권

    우리 사회가 선진사회로 접근해가면서 고령화가 진전되고 불가피하게 노인복지는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보건복지부가 노인복지법을 개정하면서 버림받은 노인을 부양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중앙일보

    1996.08.21 00:00

  • 地自體들,주민집단이기주의 제동

    「내가 사는 곳에는 혐오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는 이른바 지역 님비(NIMBY)현상에 자치단체들이 정면대응으로 나섰다. 경북군위군은 24일 지난 몇년동안 주민들의 반대로 미뤄왔던

    중앙일보

    1996.06.25 00:00

  • 下.도쿄 高齡者 아파트 실버피어 르포

    오후2시. 관리인 하나이 도시미(花井利美.64)부부는 거실 한편에 설치된 「안부 확인 시스템」을 통해 201호에 혼자 살고 있는 쓰나가와 기미에(網川君江.80)할머니가 외출에서 돌

    중앙일보

    1996.05.31 00:00

  • 上.일본 '노인공화국' 도와초

    히로시마(廣島)맞은편 세토(瀨戶)내해(內海)에 그림같이 떠 있는 섬 오시마(大島).그 남쪽 절반이 「노인공화국」 도와초(東和町)다. 전체인구 5천8백80명중 65세 이상이 2천7백

    중앙일보

    1996.05.30 00:00

  • 더러운 강물이 원초적 불신-수돗물 무엇이 문제인가

    당국은 가정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 자체는 괜찮은데도 그동안 크고 작은 수질오염 사고와 더러운 원수(原水)로 인해 형성된 이미지 때문에 무조건 수돗물을 기피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중앙일보

    1996.05.25 00:00

  • 14.한보그룹

    지난 3월 한보그룹의 창업주 정태수(鄭泰守)총회장으로부터 경영대권을 이어받은 정보근(鄭譜根)신임회장의 나이는 33세.현직국내 30대그룹 총수 중 최연소다.창업주가 살아 있을 때 무

    중앙일보

    1996.05.11 00:00

  • 8.대구서乙

    『강재섭(姜在涉)의원이오.글쎄 신한국당은 싫은데 「씨암탉」은하나 있어야 할 것같고.고민이네요.』(평리2동 슈퍼마켓주인) 대구의 전반적 정서는 「반(反)YS」다.이 거대한 반YS정서

    중앙일보

    1996.02.26 00:00

  • 1.서울난곡.당고개 홀로 노인촌

    국민소득 1만달러를 넘어 선진국 대열에 접어든 한국의 수도 서울.현대화의 각종 물결이 넘실거리는 이면엔 상상도 못할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가족과 사회로부터 버림받은 노인들이 집단으

    중앙일보

    1995.09.02 00:00

  • 경주 구봉산 生食마을

    경북경주시산내면우라2리산90.태백산맥의 끝자락인 구봉산에 자리잡고 있는 생식(生食)마을. 「시루미기 마을」로 불리는 이곳은 화식(火食)을 거부하고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채소,자연 그

    중앙일보

    1995.07.14 00:00

  • 강릉 대기리.정선 구절리

    사람의 발길이 가는 곳에 길이 생기고 그 길에 세월이 흐르면어느덧 인간사 구성진 이야기가 새록새록 쌓이게 마련.아름다운 우리의 산야 뒤안길에서 접할 수 있는 진솔한 삶의 얘기를 「

    중앙일보

    1995.06.16 00:00

  • 지방선거 자원봉사단 무슨일하나-選管委돕는 公明파수꾼

    「자동차 영업사원.슈퍼마켓주인.농부.대학생…」. 중앙선관위(위원장 金碩洙대법관)가 대대적인 자원봉사자 모집에나서고 있다.돈 안드는 깨끗한 선거는 자원봉사자의 효율적 활용에 달려있기

    중앙일보

    1995.04.10 00:00

  • 통계청발표 한국사회 지표-취업자중 55이상 高齡14.4%

    통계청이 매년 이맘때 발표하는 「한국의 사회지표」는 우리들의생활상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통계지표다.9개 부문별로 주요 내용을 간추려 본다. ▲94년 국민

    중앙일보

    1995.02.17 00:00

  • 朝鮮末 청백리 李建昌 증손 李亨周씨

    어떤 좋은 저자(著者)또는 어떤 좋은 저작(著作)을 대하게 되는 것은 그 방면의 비전문적 독자에게는 대체로 우연이다.나는그럴 때마다 나의 운수 좋음을 혼자서 탄복한다.서여 민영규(

    중앙일보

    1995.01.28 00:00

  • 6.농촌주택

    농촌에 빈집과 노는 땅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이제 새삼스런일이 아니다. 농촌진흥청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농가(1백50만가구)의 91%인 1백36만가구는 현재 농사를

    중앙일보

    1994.11.24 00:00

  • 떠나는農心 대책아쉽다-農振廳 전국농가 경영실태.의식조사

    현재 농사를 짓고 있는 농가 가운데 1백가구중 약 3가구가 앞으로 3년내 농사를 그만 두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또 장기적으로 여건이 허락한다면 4가구중 1가구 이상이

    중앙일보

    1994.11.12 00:00

  • 10.고령.합천

    은빛 모래펄이 검은 기름띠로 뒤덮이고 황토빛 농경지가 잿빛으로 변했다.토양오염 때문이다. 낙동강과 금호강의 오염된 물로 농사를 짓다보니 농경지에 각종오염물질이 스며들어 토양이 죽어

    중앙일보

    1994.11.05 00:00

  • 돼지고기 수출단지 지정 육성-경북도

    [大邱]경북도는 4일 우리축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돼지고기 수출단지 8곳을 지정,집중육성키로 했다. 도는 경주군 2개소와 경산군 1개소,영천군 1개소,양돈조합단지 1개소등

    중앙일보

    1994.08.04 00:00

  • 2001년 2명중 1명 공동주택거주-국토개발硏.산업개발硏

    앞으로 가구당 가족구성원 수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총가구수는점차 증가해 2001년에 이르면 총주택 소요량이 1천3백2만6천가구가 될것으로 전망됐다.또 2001년에는 단독주택에 사는

    중앙일보

    1994.07.29 00:00

  • 임진강서 동해안까지 남북정상회담 잠설친 실향민마을

    ◎“바로 저 고향땅 밟을수 있을까”/“우리가 살면 얼마나 살길래/꿈속의 가족 얼굴도 못봐”/이산재회 어렵다면 생사확인이라도 『이게 꿈인지 생시인지… 고향 땅을 죽기전엔 다시밟기 어

    중앙일보

    1994.06.29 00:00

  • 규제줄이고 시장기능 도입-농어촌발전 종합대책

    14일 발표된 농어촌발전 종합대책은 UR논의가 본격화된 86년 이후 꼭 열번째 정부 대책이다. 이번 대책은 지금까지 식량증산을 목표로 하던 「돌격형」농업을농어업.농어촌.농어민의 균

    중앙일보

    1994.06.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