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하굴착 공사로 도로 파손|건축주 백8명 적발

    간선도로변 대형건물 신축 공사장에서 안전시설 없이 지하굴착공사를 하다 차도와 보도 블록 등 도로시설을 파손시킨 건축주 1백83명이 30일 서울시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시는 이들 중

    중앙일보

    1991.04.30 00:00

  • 역삼동 등 8개 지역 8만평-용적률 300%로 확대

    서울시는 10일 현재 전용주거지역으로 지정돼 3층 이상 건축이 금지돼 있는 역삼동 670 일대 등 시내 8개 지역 8만4천8백9평을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를 변경, 건축제한 등 규제

    중앙일보

    1991.04.10 00:00

  • 우리동네 91년

    당현천 상류 복개공사 및 동부고속화도로 연결도로 건설이 올해도 계속사업으로 추진되는 등 동북부지역의 교통난 해소사업이 중점적으로 시행된다. ◇도로 = 방학로∼화랑로간 도로 중 상계

    중앙일보

    1991.01.29 00:00

  • 「구두닦기 박스」이면 도로 이전

    서울시내 간선도로변 인도에 난립한 구두닦기 박스가 일정 규격으로 크기와 모양이 제한돼 이면도로로 옮겨지게 되며 신규영업이 금지된다. 서울시는 21일 도로상 무단시설정비 계획의 하나

    중앙일보

    1990.12.21 00:00

  • 남북 어깨동무 통일 합창/평양간 한국 축구선수단 이모저모

    ◎환영인파 몰려 호텔입장에 30분/“잘왔다” 목말태워 「사람숲」 사이로 행진/오늘 노동당 창건 휴일… 10만 횃불시위 ○…손에 손을 잡고 또 어깨를 껴안고 남과 북의 체육인들이 너

    중앙일보

    1990.10.10 00:00

  • (11)"비행장 주변은 가축도 못 키운다"-소음

    『말로만 들었던 비행기 소음이 이토록 사람이 못살 정도로 시끄러울 줄 몰랐어요. 지난 3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방 한칸 딸린 가게를 얻어 이사 온 박한선씨(39)는 전세가 싸

    중앙일보

    1990.08.28 00:00

  • “담쟁이 길러 여름을 시원하게”/폭염도시 대구 납량작전

    ◎묘목 그루당 5백70원씩/시멘트벽 덮어 복사열 막기로 『담쟁이로 무더위를 잡아라.』 분지라는 지형상 특성때문에 매년 여름 「더위앓이」를 해야하는 시민들을 위해 대구시와 대구시산림

    중앙일보

    1990.07.08 00:00

  • 예식장 주차장 설치기준강화

    서울시는 11일 현재 4실 이상 설치하지 못하도록 돼있는 결혼예식장 예식실 설치 제한을 폐지, 신규허가 업소부터는 대형화를 추진하되 주차장 설치기준을 크게 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중앙일보

    1989.12.11 00:00

  • 예식장 주변 교통체증 심각

    도심교통을 마비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예식장 주변 교통체증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시내 1백30여개 예식장 중 가장 많은 예식장이 몰려있는 영등포시장 네거리 주변의 경

    중앙일보

    1989.12.04 00:00

  • 공원 녹지가 21%차지 전원도시로 꾸민다 |국토개발위 분당

    오는 10월과 내년 3월에 각각 최초 분양될 분당·일산 신도시의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건설부는 이들 신도시의 기본 설계를 국토개발 연구원에 용역 의뢰했는데 1차로 분당의 대략적인

    중앙일보

    1989.07.20 00:00

  • 재개발· ll층 이상 아파트 |구 심의만으로 건축가능

    11층 이상의 민영아파트와 불량주택 재개발지구에 짓는 아파트는 18일부터 구청의 심의만 거치면 지을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이날 종전 시 본청 건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허가해왔던

    중앙일보

    1989.07.18 00:00

  • 간선도로변 미관지구 건물신축 바닥면적 규제 완화

    서울시는 7월부터 간선도로변 미관지구의 건물층수별 건물 바닥면적 최소기준을 현행보다 최고 50%에서 최하 12.5%까지 완화키로 했다. 시의 이같은 바닥면적 규제는 건물미관을 최대

    중앙일보

    1989.05.15 00:00

  • (1)중구

    중구는 올해 총 예산2백76억원으로 옛 양정고 자리에 손기정공원을 조성하고 녹지·주변야산에 운동시설을 해 주민들의 여가공간으로 활용토록 하며, 옛 서울음대자리에 구민회관과 지방의회

    중앙일보

    1989.01.10 00:00

  • 잠자던 민속문화에 "점화"|88성화 국내봉송 결산

    지난달 27일 그리스에서 제주에 기착한 「하늘의 불」성화는 21박22일의 대장정 끝에 17일 잠실벌을 밝히고 63개 시·도 4천1백67km의 국내봉송을 성공적으로 끝냈다. 해안과

    중앙일보

    1988.09.17 00:00

  • (14)수모 겪는 대회 깃발

    올림픽 잔치 분위기 조성을 위해 길가에 내걸린 깃발들이 찌들고 있다. 마지못해 체면치레로 게양한 곳이 있는가하면 먼지·공해에 때가 찌들대로 찌들어 새까맣게 변색된 것도 있어 자칫

    중앙일보

    1988.08.05 00:00

  • 방범대원들 비상 근무

    ○…경찰은 파출소근무 경찰의 출동으로 생길 일선 파츨소 경비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울시내 4천5백80명의방범대원을 비상근무 시켰다. ○…경찰은 7일 서울시내 간선도로변 고층건물

    중앙일보

    1987.02.07 00:00

  • 상계지구 「도시설계지역」으로 개발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성될 상계지구의 도봉구청 이전 예정지 앞과 노원역·창동역 주변 중심상업지구가 건물배치 및 형태·용도·높이 등에 제한을 받게 되는 도시 설계 지역으로 개발된다. 서

    중앙일보

    1986.11.12 00:00

  • (5)-국민소득 3천불 시대

    【대북=박병석 특파원】대만은 여러 가지 면에서 눈에 띄게 변하고 있다. 대만의 관문인 중정(고 장개석 총통의 호) 공항문을 나서자 택시의 색깔이 파랑·흰색· 녹색 등으로 다양하게

    중앙일보

    1986.06.25 00:00

  • 택시·버스 정류장 겹친 곳 많다

    간선 도로변에 있는 택시정류장 가운데 위치가 부적합한 곳이 많다. 대부분의 택시정류장이 버스정류장과 맞붙어 있어 정차할 때마다 택시와 버스가 뒤범벅이 돼 서로 진로를 방해하는가 하

    중앙일보

    1986.06.09 00:00

  • 서울대 시위로 수업 못해|농대강의실선 「입소거부」 농성

    서울대 급진과격운동권 조직인 자민투(반미 자주화·반파쇼 민주화 투쟁위원회)와 동조운동권 학생들은 서울대생 「전방 입소훈련」 출발일인 28일 상오 수원의 농대 캠퍼스 강의실을 점거,

    중앙일보

    1986.04.28 00:00

  • 외국 손님맞이 돈 너무 쓴다.

    외국 손님맞이 잔치에 시민 세금이 너무 헤프게 쓰인다. 겉보기에 덜 멋지다고 60억원을 들여 성한 보도 블록을 바꿔 깔고 시내 차선을 모두 새로 칠하는데 26억원을 쓰는 등 길거리

    중앙일보

    1986.04.15 00:00

  • 대형 고층건물 짓기 꺼린다

    서울도심에 우뚝우뚝 『솟아오르던 대형고층빌딩 붐이 작년에 이어 올 들어 더욱 침체하고 있다. 또 큰 규모의 업무용대신 12∼15층 정도의 음식점·스포츠 및 레저시설·문화센터·백화점

    중앙일보

    1986.04.07 00:00

  • "빚져가며 집지을수 없다"

    이 기사는 서울시의 일방적인 취락구조개선사업으로 빚더미에 올라앉게 됐으니 땅값을 분할 납부하게 해주고 주택융자금을 늘려 달라는 세곡동 방죽마을등 5개 마을 2천여 주민들의 진정에

    중앙일보

    1986.03.17 00:00

  • 한국 상질할 조형물 3개 세운다

    서울 잠실 아시아공원 진입광장에 한국의 강과 산을 형상화한 환경조형물 (작품명「자연과 빛」이, 잠실주경기장입구 체육고교철거부지에는 한국의 발전을 상징하는 조형물 (작품명 「웅비」)

    중앙일보

    1986.03.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