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소년 본 女관객 "안철수 뽑을래" 이유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화 '늑대소년'의 흥행과 함께 주목을 받는 말이 있다. '철수 앓이'다. 극중 송중기가 맡은 늑대소년의 이름이 바로 '철수', 그에게 빠진 관객들이 일상 생활에서도 헤어나오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때로는 늑대처럼 사납게, 또 때로는 강아지처럼 순종적인 철수는 특수한 환경에서 자라 사회성이 확립되지 않은 의문의 존재로 등장한다. 대사 한 마디 없이 몸짓과 눈빛으로만 이야기하는 그의 모습에서 관객들은 애틋함을 느끼며 감정 이입을 한다. 자신을 짐승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 대하는 순이(박보영)에게 보여주는 지고지순한 사랑도 충분히 심금을 울릴 만 하다. 그래서일까. 영화를 본 관객이라면 '철수'를 쉽사리 잊기가 힘들다.

실제로 이러한 '철수 앓이'가 담긴 재밌는 에피소드들이 트위터 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네티즌 사이에서 유명한 일화 하나가 있다. 영화가 끝난 후 한 여성 관객이 "아ㅠㅠㅠ 나 안철수 뽑을거야ㅠㅠㅠㅠ"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현장에 있던 한 관객이 인터넷에 직접 올려 큰 웃음을 자아냈다. 대선 후보인 안철수와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생겨난 해프닝이다.

또 한 포털사이트에는 '늑대소년'을 치면 '늑대소년 안철수'가 연관 검색어로 자동 형성된다. 그만큼 영화 속 철수와 실제 철수를 연관지어 생각하는 네티즌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트위터리안은 "[속보] 안철수 '사실 난 늑대소년'"이라는 재치있는 글을 남겨 눈길을 끌었다. 또 "그렇다. '늑대소년'은 안철수 홍보영상이었다(@helOOO)" "박근혜는 '늑대소년'을 경계해야 한다. 이미 수백만 여성 관객이 '철수'에게 빠져버렸다(@walOOO)" 등의 글이 올라왔다. 흐름을 탄 일부 안철수 지지자들의 '늑대소년' 홍보글도 볼 수 있었다.

일상 생활에서도 '철수 앓이'는 나타난다. 극중 동물과 같은 성향을 가진 철수와, 애완동물을 훈육하듯 그를 길들이던 순이의 모습을 빗댄 것이다. "동생이 철수 성대모사를 할 수 있다길래 봤더니 내 손을 물고 들고 있던 사과를 가져가서 먹었다(@emsOOO)" "우리집 강아지를 철수라 생각하고 '기다려' '먹으라고 하면 먹는거야'라는 대사를 하루종일 하고 있다(@sjlOOO)"는 내용의 글이다. '기다려'라는 대사는 영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극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네티즌 사이에서 유행어처럼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스토리)에서도 송중기와 박보영의 사진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하는 등 '늑대소년'과 관련된 글과 사진을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웃고 넘어갈 가벼운 에피소드들이다. 크고 묵직하진 않지만 소소하게 일상에 닿아있어 정감이 간다. 가령 "내가 싫어하는 선생님 이름이 철수. 그런데 '늑대소년'을 본 후엔 그 선생님도 사랑하기로 했다(@exsOOO)"는 이 관객처럼 말이다.

유혜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