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르헨 위기지속시 신흥시장 부정적 영향 우려"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최근 아르헨티나의 경제위기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위기상황이 지속될 경우 신흥시장의 전반적인 리스크 프리미엄 증대로향후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재정경제부는 14일 `최근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상황 및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발표, "중남미와 동남아 주요국가의 가산금리가 상승하는 등 아르헨티나의 금융시장혼란이 신흥시장국으로 점차 파급되는 양상"이라고 밝혔다.

재경부는 "우리나라의 외평채(외국환평형기금채권)가산금리도 지난달 1.4% 수준에서 이달들어 1.6% 내외로 다소 상승했다"면서 "이는 주로 동남아 국가의 물량공급확대와 미국 금리인하 등에 기인한 것으로 중남미 시장불안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외평채 가산금리는 지난 3월말 1.93%에서 6월말 1.41%로 떨어졌으나이달 들어 지난 9일 1.62%, 10일과 11일 1.55%, 12일 1.6%를 기록했다.

재경부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규모가 21억달러, 금융기관의 지원규모(엑스포저)도 1억2천만달러 수준에 불과해 직접적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다만 위기상황이 지속될 경우 신흥시장의 전반적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져 향후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세계경기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유의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