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3명 중 1명은 불법 행위, 곧 공개할 것"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전국의사총연합(이하 전의총)은 최근 경기도 성남시, 서울시 송파구 소재 약국의 불법행위를 적발한 것에 이어, 또 다른 지역의 약국 불법사례를 조만간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와 같은 고발행위가 약사직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의총은 16일 성명을 통해 "의약분업이 시행된지 10년이 넘었지만, 약사들은 자신들이 의료인인 양 일반약을 구매하려는 환자들에게 황당한 진단을 붙여 매약을 해왔고, 약사 아닌 일반인을 카운터 앞에 내세워 일반의약품을 판매해왔다"고 밝혔다.

일반의약품을 구멍가게의 과저처럼 아무나 판매하고, 제대로 된 설명도 없이 환자에게 건네지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

전의총은 "감기약이나 소염진통제를 판매하더라도 약사 본인이 제대로 된 복약지도를 하며 판매하는 것이 약사의 소임"이라며 "그들은 의사들의 약사라는 직능을 무시한다고 주장하나, 실상 그들 스스로 자신들의 직능을 포기온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의총은 약사들의 이중적인 행동을 지적했다. 지난 2010년 이명박 대통령이 일반의약품의 슈퍼 판매를 제안했을 당시, 약사들은 위험해서 안된다고 결사 반대했지만, 현실에서는 약사 아닌 무자격자가 약을 팔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제대로 감시하는 정부 기관이나 시민단체가 없어, 자신들의 직접 감시 활동을 나설 수 밖에 없었다는 게 전의총의 설명이다.

전의총은 "지난 해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3차에 걸친 약국의 불법행위 감시 결과는 놀라울 따름"이라며 "약사회는 반성은 커녕 전의총의 활동을 비난하며, 증거 확보를 위한 동양상 채증 과정을 두고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초상권 침해를 운운했다"고 비난했다.

전의총은 자신들의 적극적인 감시활동에도 불구하고 약국의 불법행위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조만간 다른 지역의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30%가 넘는 불법행위가 적발됐다는 전언이다.

이어 전의총은 "약국의 불법행위는 국민건강권에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며, 약사 스스로 자신의 직능을 포기하는 행태" 라며 "전의총의 행보는 일반 카운터로부터 약사들의 직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약사들이 고마워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약국 감시활동에 대해 약사회의 비난이 멈추지 않는다면 약사들이 자신의 직능을 스스로 포기한 것으로 간주, 더욱 강력한 불법행위 고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기기사]

·제약업계 맏형 동아제약 굴욕 3종세트 [2012/10/17] 
·“간질약인가? 한약인가?” 한약 거부운동으로 확산 [2012/10/17] 
·"의료기관 병상 급증 이게 문제!" 10년간 1.8배 증가 막을 해법은? [2012/10/17] 
·적십자사, 임금체불에 콘도 회원권 과다 보유까지 [2012/10/17] 
·아이 콧속에 들어간 이물질 간단히 빼낼 수 있는 방법은? [2012/10/17]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