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남북 정상회담, 남측도 녹음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논란을 빚고 있는 2차 남북 정상회담(2007년 10월 3일)의 대화 내용을 우리 측 배석자가 직접 녹음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디지털로 녹음된 이 파일은 녹취 형태의 대화록과 함께 국가정보원에 넘겨진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회담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17일 본지와 통화에서 “국정원은 녹음을 못했으나 회담 기록을 위해 배석했던 조명균 청와대 외교안보정책조정비서관이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로 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단독회담 발언을 모두 담았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에 돌아온 뒤 정상회담에 배석한 김만복 국정원장과 조 비서관이 각각 메모한 내용과 녹음파일을 참고해 대화록을 만들었다”고 했다. 국정원이 만든 이 대화록은 한 부 더 만들어져 청와대에도 전달됐다. 또 김 전 원장과 조 전 비서관의 메모수첩도 국정원에 함께 제출됐다고 한다.

 이 회담 관계자는 “녹취록 형태의 공식 회담록은 A4용지 100쪽이 넘는 분량이었다”며 “2부를 만들어 청와대에 한 부 제출했고, 국정원도 한 부 가졌다”고 했다. 정상회담 당시 우리 측에선 노 대통령을 중심으로 권오규 경제부총리, 이재정 통일부 장관, 김 원장,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회담 테이블에 앉았다. 조 비서관은 노 대통령 뒤편 배석자 자리에 앉았다. 북측에선 김정일 옆에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만 앉았고 기록을 위한 배석자는 없었다.

 그동안 새누리당 일각에선 북한만 정상회담을 녹음하고 우리 측은 녹음을 하지 못해 북한 측으로부터 녹취록을 제공받은 것으로 언급해 혼선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당시 회담 관계자는 “김만복 원장의 수행비서가 회담장에 녹음기를 가지고 들어가려다 북측에 제지당했는데, 이게 조 비서관이 녹음기를 반입하지 못한 것으로 잘못 설명돼 생긴 혼선”이라고 말했다. 여권 핵심 관계자도 본지와 통화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2009년 2~3월께 국정원에 보관된 대화록을 보고 받았고, 정문헌 의원도 이것을 본 것인 듯하다”며 국정원 대화록의 존재를 인정했다. 결국 우리 측이 녹음한 파일을 토대로 만들어져 현재 국정원이 보관 중으로 드러난 대화록을 공개하는 것만이 논란을 끝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국정원 보낸 회담록 A4 100쪽…녹음파일도 넘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