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 900조 유엔기구 모셔라 … 인천 송도의 도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8000억 달러(약 908조원)에서 나오는 ‘낙전(落錢) 효과’.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하려는 국제 경쟁이 뜨거운 이유다.

 ‘환경분야의 세계은행’으로 불리는 GCF는 2020년 1000억 달러, 2027년 8000억 달러라는 천문학적 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운영할 GCF 사무국을 유치하면 막대한 ‘떡고물’이 떨어진다는 게 유치전에 나선 나라들의 계산이다. 한국·독일·스위스·멕시코·폴란드·나미비아에서 6개 도시가 도전장을 냈는데, 이 가운데 인천 송도, 독일 본, 스위스 제네바가 3파전을 벌이고 있다.

 18일 외교통상부·인천시에 따르면 송영길 인천시장, 손성환 외교통상부 기후변화 대사 등은 지난달 22∼2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GCF 1차 이사회에 참석해 송도에 대한 홍보전에 나섰다.

 이와 별도로 민간유치위원회(위원장 한덕수 무역협회장)와 정계·재계·학계에서 123명이 참가하는 범시민지원위원회가 결성돼 각자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GCF 사무국이 들어서면 주재원 500명이 상주하고 매년 기금을 따내기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이 송도를 찾기 때문에 인천시에만 연간 1900억원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각국의 고급 인재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국제 수준의 교육·의료 시설도 필요하다. 이를 갖추는 과정에서 겹겹이 쌓여 있는 국내 교육·의료 규제를 풀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정부는 ▶송도가 친환경·저탄소 도시이고 ▶한국이 녹색성장 분야에서 선진국과 개도국의 교량 역할을 할 수 있고 ▶아시아에 환경 관련 국제기구가 없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킬 계획이다. 독일은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이 본에 있다는 점을, 제네바는 각종 국제기구가 몰려 있어 편리하다는 점을 각각 내세우고 있다. 또 3개 도시는 사무국 건물과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유치조건으로 내걸었다.

최종 입지는 11월 말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제1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24개 이사국의 과반수 지지로 판가름 난다. 그에 앞서 10월 18~20일 송도에선 GCF 2차 이사회가 열린다.

◆GCF=선진국들이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지원을 위해 2010년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조성하기로 결정한 유엔 산하 기금. 선진국들이 추렴해 2020년 1000억 달러를 시작으로 이후 해마다 1000억 달러를 추가해 2027년 8000억 달러 규모로 키울 예정이다. 8450억 달러인 국제통화기금(IMF) 규모에 버금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