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부사장·전무 포함해 임원 절반 퇴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쌍용건설이 전무급 이상 임원 전부를 내보내기로 했다. 조직을 대폭 축소하고 연말까지 직원 30%를 감축할 방침이다.

쌍용건설은 1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안을 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구조조정안은 대주주인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채권은행단이 지원키로 한 금융 지원(2000억원)과는 별개로 경영 정상화를 위한 쌍용건설 측의 자구노력이다. 캠코·채권단과의 협의도 끝냈다.

 구조조정안에 따르면 부사장 3명과 전무급 4명은 모두 회사를 떠난다. 상무급 이하는 50%인 16명 정도만 남는다. 임원 32명은 이미 14일 회사에 일괄 사표를 냈다.

 임원이 대거 회사를 떠남에 따라 본부제 중심의 조직 체제도 바뀐다. 6본부·41부·6팀으로 운영돼 온 조직은 28개 팀으로 대폭 축소된다.

 국내외 수주 영업 때문에 다른 업종에 비해 조직이 크고 보수적인 건설업계에서는 이례적인 조직개편이다. 한 대형 건설업체 임원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지만 법정관리나 워크아웃도 아닌데 자구안이 상당히 파격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조직을 축소함에 따라 연말까지 직원 30% 정도를 감원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그러나 해외 수주 확대가 지속적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사업 부문으로의 인력 재배치 등을 통해 인력 구조조정을 탄력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해외사업 수주 실적을 늘림으로써 감원 폭을 줄여 대량 해고를 피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과장급 이하 직원의 구조조정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6월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쌍용건설 직원은 정규직 1155명과 계약직 171명 등 1326명이다.

 쌍용건설은 임직원 상여금 200% 삭감, 접대비 등 소모성 경비 50% 절감, 사무실 면적 축소, 자산매각 등도 병행키로 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직원 구조조정은 노조와의 협의를 통해 우선 공감대를 형성한 뒤 탄력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라며 “자구안이 실현되면 연 1000억원 정도를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석준 회장은 남기로 했다. 이랜드그룹이 인수합병을 시도할 때도 김 회장의 잔류를 희망할 정도로 해외영업에서 그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 13위인 쌍용건설은 최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손실과 매각 무산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이 때문에 지난달 말 캠코와 산업·우리·신한·하나·국민은행 등 채권은행단은 쌍용 측에 2000억원을 긴급 지원키로 했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