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주사액, 폭염 지속될 땐 변질 주의해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제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가투여 인슐린 주사제 안전하게 투약하기’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당뇨병은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나타나는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성 질환이다. 최근 들어 식습관 변화, 스트레스 증가,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늘어나는 추세다.

인슐린 분비가 제대로 안 되는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환자는 인슐린 투여가 필수적이다. 또 인슐린이 분비되더라도 포도당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환자도 필요한 경우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인슐린은 위장관 내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먹는 약이 아닌 주사제로 개발돼 사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혈당 관리를 위해 환자의 자가투여가 필요하다.

인슐린 주사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인슐린은 혈관과 신경 분포가 적은 피하조직층에 주사해야 하므로 피하조직이 많은 배, 허벅지, 윗 팔 등에 주로 주사한다. 한 부위에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지방축적으로 흡수가 지연될 수 있으므로 1~2㎝ 가량 위치를 옮겨 주사한다.

현탁액 형태의 인슐린은 사용 전 고루 섞어야 한다. 심하게 흔들면 거품이 생겨 정확한 용량을 취하기 어렵다. 손바닥 위에서 천천히 굴리거나(바이알형의 경우) 위아래로 가볍게 흔들어(펜형의 경우) 섞는다.

셋째 주사바늘과 주사기는 재사용하면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한 번 사용 후 폐기한다.

한편 펜형 주사제는 주사액과 주사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제품으로, 매 번 일회용 주사기로 약을 뽑아서 주사해야 하는 바이알형보다 용량 설정과 주사방법이 간편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주사 전 바늘을 위로 오게 해 바늘 끝에 주사액이 나올 때까지 주입 버튼을 눌러 기포를 제거하면서 막힘 없이 제 기능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검사’도 매번 실시한다. 또한, 설정된 용량이 모두 투여될 수 있도록 주입 버튼을 누른 후 최소한 10초 이상 바늘을 꽂은 채로 있어야 한다.

보관시에도 주의해야 한다. 개봉하지 않은 인슐린 주사제는 2~8℃에서 냉장보관하고 얼지 않도록 주의한다. 개봉 후에는 직사광선을 피해 15~20℃의 실온에 보관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품에 따라 보관방법과 보관기간 차이가 있으므로 제품설명서 등을 참고한다.

비행기 여행 중에는 화물칸에 보관하는 경우 얼 수가 있어 기내에 가지고 타야 한다. 또한, 고온에서는 변질돼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최근처럼 30℃가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시기에는 인슐린 주사제의 보관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식약청은 인슐린 주사제를 사용하는 환자와 보호자는 제품별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방법과 보관방법,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반드시 의사 약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 투약안내서는 전국 보건소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식약청 홈페이지(www.kfda.go.kr)>정보자료>홍보물자료>교육홍보물 게시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기기사]

·[단독]일동후디스 분유에 세슘 검출됐다던 증명서에 가짜 직인이? [2012/08/09] 
·척추·관절 T병원 보험사기 연루…'입원확인서' 논란 [2012/08/09] 
·일동후디스 세슘 의뢰한 카페서 기자 강제탈퇴 [2012/08/09] 
·안정성 입증된 국내 첫 줄기세포 화장품 나오나 [2012/08/09] 
·분만 취약지에 최소 10억 원 들여 분만실 운영한다 [2012/08/09] 

배지영 기자 jybae@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