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금리 짬짜미 의혹, 저학력자 대출 차별 이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금융소비자원은 은행 간 CD금리 담합으로 피해를 본 금융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난달 30일부터 집단소송 신청을 받고 있다. 6일 서울 여의도동 금융소비자원에서 직원들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대출 집단소송 서류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오전 8시 서울 태평로 신한은행 본점 6층 대회의실에 전국 지역본부장·지점장 등 부서장급 이상 임직원 200여 명이 모였다. ‘사회책임경영 실천 다짐대회’. 이 자리에서 서진원 행장은 최근 저학력자 대출 차별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 “금융의 책임이 커지는 상황에서 상생의 가치를 배려하지 못해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날 신한은행은 가계대출·기업대출 금리 상한을 각각 연 14%와 연 12%로 3%포인트씩 낮추고, 영업점장이 임의로 금리를 조정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각종 신용평가·담보변경 수수료 등을 폐지했다.

 최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담합 의혹, 대출서류 조작 논란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은행권이 앞다퉈 대출금리를 내리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점장 전결 가산금리를 폐지하고, 대출 최고금리를 현행 연 18%에서 15%로 내리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 등이 보증을 서는 대출은 최고금리를 연 13%로 5%포인트나 낮췄다. 이와 함께 신용평가·기술검토사정 수수료 등 기업이 부담해 오던 수수료도 폐지키로 했다. 하나은행도 13일부터 가계대출 최고금리를 연 14%로 2%포인트 인하키로 했으며, 우리은행도 인하를 추진 중이다.

 자체적인 자정결의도 이어졌다. 국민은행은 이달 초 부점장 등 간부급 직원 1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정도경영 실천 선언식’을 열고,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고객 민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소비자보호실을 금융소비자보호부로 승격하고 인원도 두 배 가까이 늘렸다. 우리은행도 ‘참금융 실천 결의대회’에서 “고객에게 부당한 금리나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은행권의 ‘고객 달래기’에 대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소비자원 조남희 대표는 “대출 최고금리를 적용받는 고객이 많지 않은 데다, 폐지하는 수수료도 일반 고객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라며 “사실상 고객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얼마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