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휴대폰도 수입중단 압력..`마늘분쟁' 재연 경보

중앙일보

입력

중국이 자국산 마늘수입 부진을 이유로 한국산폴리에틸렌(PE)에 이어 휴대폰에 대해서도 수입중단 압력을 가하고 있어 정부와 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12일 산업자원부와 업계에 따르면 중국측은 우리 정부가 작년 마늘분쟁 타결과정에서 약속한 마늘 수입분(3만2천t)중 1만t 가량이 수입되지 않았다며 조만간 약속이행을 매듭짓지 않을 경우 한국산 휴대폰에 대해 수입중단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을최근 외교경로를 통해 전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외교통상부와 농림부, 산자부 등 관계부처 실무자들은 11일 긴급회의를 열어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으나 해법을 마련하는데 실패했다.

정부는 당초 약속한 마늘수입분중 최소시장접근(MMA)물량 1만2천t을 수입하고민간차원에서도 1만t가량을 사들이는 등 최대한도로 성실한 노력을 기울인 만큼 중국측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보면서도 중국과의 교역관계 등을 감안해 미수입분 1만t을 추가로 사들이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따라 ▲농수산물가격안정기금(농안기금)을 이용하거나 ▲휴대폰 또는 폴리에틸렌 수출업체들이 수입대금을 분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부처 또는 업체간 입장차이로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에 휴대폰을 수출하고 있는 삼성전자[05930]와 맥슨전자 등 전자업체 대표들도 12일 오전 대책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한편 중국은 이달초 마늘수입 부진에 따른 보복 차원에서 한국산 폴리에틸렌(PE)수입에 필요한 서류발급 절차를 지연시킨 것으로 알려져 LG화학[03550], SK[03600],삼성종합화학 등 국내 8개 PE생산업체 관계자들이 최근 대책회의를 가진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