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축우라늄 미·러서 사면 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게리 새모어(사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군축 대량살상무기 확산 테러 담당 조정관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관련, 한국의 우라늄 농축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새모어 조정관은 23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한국이 민수용으로 고농축 우라늄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 필요하면 미국이나 프랑스·러시아 등에서 (연료용) 농축 우라늄을 구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에는 우라늄 농축 서비스를 제공하는 나라가 많다”며 “핵발전소 연료용 저농축 우라늄에 접근하는 데 지금도 한국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미국은 1974년 맺은 원자력협정이 2014년 만료됨에 따라 2010년 10월부터 개정 협상을 해오고 있다. 미국은 핵 확산을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원자력 이용을 반대하는 반면 한국은 핵연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백악관 핵심 관계자가 우라늄 농축 허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셈이다.

새모어 조정관은 원자력협정 개정 시기에 대해서도 “미국과 한국이 올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그 전에 (협상에) 진전이 있기는 어렵다”면서 “2014년까지 협상할 시간이 충분하다”고 해 차기 정부에나 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사용 후 핵연료의 건식 재처리(파이로프로세싱)와 관련해 “한·미 두 나라의 과학자들이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발에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어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며 “하지만 해답이 언제 나올지는 정확히 예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