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 DDR! FIC AD11 메인보드 [1]

중앙일보

입력

펜티엄 PC가 시작된 이후로 PC에 장착된 메모리들은 FPRAM과 EDORAM, SDRAM과 DDR SDRAM, RDRAM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러나 FPRAM과 EDORAM은 거의 동일한 72Pin SIMM에 사용되었고 FPRAM용 메인보드와 EDORAM용 메인보드가 다르지도 않았다. 430VX칩셋에 와서야 사용되기 시작한 SDRAM은 Pentium II 시대에 들어와서야 FPRAM/EDORAM을 축출했으며 지금까지 이어져내려오고 있다. RDRAM은 i820과 함께 인텔의 전폭적인 지원하에 출발을 했지만 지나친 고가격으로 인해 고가형 PC가 아니면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이 RDRAM은 Pentium 4의 i850칩셋에서도 사용된다. SDRAM의 대역폭을 2배로 늘린 DDR SDRAM은 아직까지는 시장 초기 상황이라 SDRAM보다 훨씬 비싸고 지원하는 칩셋도 한정되어 있다.

현재 PC 시장은 꽤 혼란하다. 언제 혼란하지 않은 적이 많이 있었냐마는 이번에는 메인보드와 메모리쪽이 혼란스럽다. 인텔 독점의 시대에서 AMD의 약진과 경쟁으로 바뀐 현 상황은 메인보드의 선택을 어렵게 만들어 버렸다. 더군다나 인텔 진영에서도 Pentium III를 위한 SDRAM과 Pentium 4를 위한 RDRAM 시장이 따로 존재하며(인텔이나 VIA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겠지만 조만간 Pentium 4에서도 DDR SDRAM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다.) AMD 시장에서도 KT133과 KT133A를 중심으로한 SDRAM 진영과 AMD760, MAGiK1, KT266과 같은 DDR SDRAM 진영이 따로 존재하니 자세한 정보를 모르는 초보자들은 그야말로 패닉상태에 빠질만한게 현 상황이다.

이러한 메모리 전쟁은 필자와 같은 테크 라이터들도 바쁘게 만들고 있다. 새로운 칩셋과 새로운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Pentium 4용 RDRAM과 AMD CPU용 고급형 보드에 사용되는 DDR SDRAM의 데이터는 아직 부족하다. 하나 하나 수행하는 리뷰나 벤치마크가 라이터들의 정보 수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도 이러한 정보 수집에 바쁜 편인데() 또 하나의 제물(?)이 걸려들었다. AMD760 칩셋을 사용한 FIC의 AD11이 바로 그것이다.

FIC(영문, 미국) 사이트로

빅빔 홈페이지로

제품문의 : 빅빔(02-714-1392)

김준연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