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컷 먹고도 살 빠지는 효소차단법 개발

중앙일보

입력

특정한 효소의 분비를 차단하면 실컷 먹고도 살이 빠질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베일러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과장 살리 와킬 박사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아세틸-코아 카복실라제-2(ACC-2)라는 효소를차단하면 보통때 보다 훨씬 많이 먹고도 체중이 10-15% 줄어드는 것으로 쥐실험 결과 밝혀졌다고 말했다.

와킬 박사는 ACC-2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분리해 낸 다음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유전자 두쌍을 모두 없앤 녹아웃 쥐들을 만들어 냈다고 밝히고 이 특수 쥐들과 보통쥐들에 시간제한없이 먹고싶은 만큼 실 컷 먹도록 한 결과 특수 쥐들은 보통 쥐들보다 40%를 더 먹고도 체중은 오히려 10-15% 줄었다고 말했다.

와킬 박사는 이 특수 쥐들을 분석한 결과 ACC-2가 억제되면 특히 근육과 심장세포들이 급속히 지방을 연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하고 녹아웃 쥐들은 보통쥐들보다 지방을 20-40% 더 섭취했는데도 축적된 지방의 양은 보통 쥐들의 절반밖에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람의 경우 섭취한 지방중 일부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연소되지만 나머지는나중 먹을 것이 부족할 때를 대비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이 정상이다.

와킬 박사는 특수 쥐들은 보통 쥐들처럼 매우 활동적이고 생식력도 왕성했다고말했다.

와킬 박사는 ACC-2의 분비를 차단하는 물질을 현재 테스트하고 있으며 이 물질을 알약 형태로 만들어 우선 쥐에, 그 다음에는 원숭이같은 고등동물에 실험해 보고결과가 좋으면 앞으로 5년안에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보스턴 메디컬 센터의 당뇨병 전문의 닐 루더먼 박사와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매다컬 센터의 제프리 플라이어 박사는 실험결과는 ACC-2가 활성화시키는 효소인 말리닐 코아가 지방 대사와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ACC-2의 억제가 새로운 비만치료제의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미국 국립질병통제센터(CDC)는 미국국민의 61%가 과체중이며 이중 26%는 비만인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