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제민주화 공약은 유행 좇은 성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통합당 경제민주화 정책의 입안자인 한국개발연구원(KDI) 유종일 교수는 5일 새누리당의 경제민주화 공약을 ‘성형’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당의 경제민주화는 철학과 사람이 뒷받침되지 않는, 코 높이고 쌍꺼풀 하는 게 유행이니까 따라 하는 ‘성형 경제민주화’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의 경제민주화를 이끄는 김종인 전 비대위원에 대해서는 “존경하는 분이라 대응하기 어렵지만, 1980년대 후반의 경제 인식에서 많이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있다”고 했다.

 총선 전 민주당의 경제민주화특위 위원장이었던 유 교수는 이날 당의 경제민주화포럼 출범 토론에서 발제를 맡았다. 그는 포럼의 공동대표인 유승희 의원의 시동생이며, 역시 공동대표인 이종걸 의원과도 친분이 있다.

 유 교수는 “민주당과 새누리당이 겉으로 보기엔 비슷한 정책을 내놓음으로써 구분하기 애매한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의 이슈에 우왕좌왕하지 말고 제대로 정비해야 한다”며 “역시 두 당의 차별화는 재벌의 소유구조 개혁과 금산분리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경제권력이 비대해지는 걸 제어해야 한다는 김종인식의 논리를 넘어 총수 한 명에게 집중된 기업지배구조를 근본부터 바꿈으로써 경제민주화 정책이 정권과 상관없이 영구히 지속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럼 창립 멤버인 민주당 홍종학 의원은 “야권에서는 이미 시민단체와 더불어 3~4년 전부터 경제민주화를 논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대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10개가 넘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했다. 포럼에는 대선 주자인 문재인·손학규 고문도 참석했다. 문 고문은 “경제민주화의 출발은 시장에 넘어간 권력, 재벌에 넘어간 권력을 되찾자는 것이고, 그것이 재벌 개혁의 시작이다. 하지만 재벌을 해체하자는 게 아니라 재벌의 경쟁력을 살리면서 개혁 방안을 찾자는 것”이라고 했다. 손 고문은 “경제민주화라고 하면 재벌 때려잡는 것이라고 공포에 질려 있는 사람이 있는데, 대기업이 골목까지 파고들어 모든 것을 독차지하려고 하면 안 된다는 얘기다. 경제성장의 과실이 골고루 분배되는 나라를 위해 정권교체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