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와 해외사업 과실 나누고, 시장 개척 밀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12일 한전 본사에서 김중겸 사장(가운데)과 협력기업 최고경영자들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협약’을 맺은 뒤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한국전력공사]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외나무가 되려면 혼자 서고, 푸른 숲이 되려면 함께 서라.”

 지난 4월 김중겸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협력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난 간담회에서 동반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용한 아프리카 속담이다. 길게 보면 “협력사의 경쟁력이 곧 한전의 경쟁력”이란 얘기다. 이런 김 사장의 지론을 바탕으로 한전은 크게 세 갈래의 협력기업 지원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는 중소기업의 판로를 넓혀주는 일이다. 이를 위해 한전은 올해 6조2000억원의 공사·구매·용역 예산 중 73%(4조4620억원)를 중소기업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최근 특히 신경 쓰는 분야는 해외 사업 확대의 과실을 중소기업과 나누는 것이다. 단순한 지분 투자보다는 경영권을 확보하는 사업을 늘리려는 데는 이런 이유도 있다고 한다. 한전이 엔지니어링·기자재·건설을 직접 관리하면 협력기업의 공사 발주, 조달의 기회가 확대된다는 것이다. 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지난해 한전이 협력사와 세계 각지에선 연 수출촉진회를 통해 2600만 달러의 수출이 성사됐다. 한전 관계자는“올해 13개국에서 3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을 성사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협력기업의 기술력과 자금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전은 지난해 협력 연구개발(R&D) 사업에 33억5000만원을 지원했다. 올해는 이를 4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한전과 1차 협력사(대기업), 2차 협력사(중소기업)이 힘을 모으는 형태의 기술개발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12일 LS전선 등 6개 대기업, 3개 중소기업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협력기업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파워에너지론’ 등 금융지원사업도 병행한다.

 세 번째는 공정거래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 이와 관련 김 사장은 “국내 사업은 공익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면서 “한전이 적자라는 이유로 협력업체에 적절치 못한 금액을 지급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전의 협력사로 참여하기 위한 문턱도 낮출 방침이다. 이를 위해 등록요건을 표준화하고 관리부품도 최소화하며 담합 등을 방지하기 위한 포상금 제도도 운영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