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통 지분 매각 실패로 민영화 차질 빚을듯

중앙일보

입력

정보통신부가 지난 6,7일 실시한 한국통신 지분 14.7%의 매각에 실패, 내년 6월로 예정된 한통 민영화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정통부는 13일 한국통신 주식 14.7%(5천97만주)의 국내매각 결과 1.1%(3백33만주)만이 팔렸다고 밝혔다. 이 물량은 법인(98.5%)과 개인(1.5%)에 낙찰됐으며, 30대 그룹에 속하는 대기업은 한 업체도 물량을 가져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통부는 국내매각이 저조한 것은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한국통신 주식을 보유중인 기관투자가들이 물량 확대에 따른 주가의 추가하락을 우려해 참여가 저조했고 ▶일반인의 입찰이 뒤따르지 않은데다 ▶경쟁업체의 입찰을 관망하던 주요 기업들이 불참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정통부는 이에 따라 지분 매각 계획을 ‘선(先)해외매각 후(後)국내매각’으로 재조정해 한통 민영화일정을 맞출 계획이지만 앞으로 증시상황이 호전된다는 보장이 없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통부가 재조정한 한통 매각방안은 상반기중에는 해외매각에 주력해 한통지분 31%를 외국업체와의 제휴(15%)와 해외 DR발행(16%)을 통해 소화하고, 국내 매각은 실수요자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1.4분기중 한통의 지배구조 및 매각한도 등을 재검토하는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뒤 하반기중 실시한다는 것이다.

정통부가 검토중인 지배구조 개정방안은 한통의 동일인 지분소유를 15%로 제한한 것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통신은 이번 입찰결과에 대해 “대규모 물량을 경쟁입찰 등 제한된 방법으로 소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증시영향을 피하면서 대량매각이 가능한 강제교환국채발행, 국민주 방식 할인매각 등 다양한 매각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