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건설 파산처리 가능성 높아

중앙일보

입력

법정관리 중인 동아건설이 파산처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동아건설을 실사한 삼일회계법인이 법정관리 관할 법원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서울지법 파산부(재판장 梁承泰부장판사)는 6일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조사보고서는 동아건설을 기업으로 유지시키는 계속기업가치가 도산 처리를 의미하는 청산기업가치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고 밝혔다.

파산부 관계자는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기업가치보다 낮을 경우 일반적으로 정리절차를 폐지하고 파산절차를 밟아왔던 게 통상적 관례" 라고 전제, "그러나 동아건설에 대해 정리절차를 폐지하고 곧바로 파산절차로 들어갈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고 밝혔다.

파산부는 동아건설의 처리 방안을 늦어도 채권자 집회가 열릴 16일까지는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건설의 경우 사회적으로 미칠 파장을 고려, 이례적으로 정리절차를 폐지하지 않은 채 청산계획안을 만들어 청산절차를 진행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경우도 실질적으로는 파산절차를 밟는 것이어서 결국 동아건설이 회생할 가능성은 극히 작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동아건설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지 2년이 되도록 경영을 정상화하지 못해 지난해 11월 3일 정부와 채권단의 퇴출기업 발표 당시 법정관리 기업으로 분류됐다.

동아건설은 퇴출기업 발표 직후 법정관리를 신청, 지난해 11월 23일 법원에서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됐다.

동아건설의 회사 정리절차가 폐지되고 파산처리될 경우 리비아 대수로공사 등 해외 공사의 지속과 공사비 정산 등을 놓고 큰 파문이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현재 동아건설이 맡고 있는 원자력발전소 등 1백10개의 공공공사를 모두 다른 업체에 넘겨야 해 공기지연 등 차질을 감수해야 하며, 아파트 1만1천여가구의 입주가 늦어지고 5백여개 협력업체의 자금사정도 악화하는 등 연쇄 피해를 겪을 것으로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