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씨 법률대리인 석진강 변호사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김우중(金宇中)전 대우그룹 회장은 현재 검찰의 수사진행 과정을 면밀히 검토하며 자신의 거취 문제를 고심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金전회장의 법률 대리인인 석진강(石鎭康.62.사진)변호사는 6일 본사 기자와 만나 검찰의 수사결과에 대한 金전회장의 의중을 간접적으로 전했다.

- 金전회장은 입국하는가.
"검찰의 법적인 절차가 마무리돼야 거취를 결정할 것으로 안다. 검찰이 金전회장의 혐의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기소중지 등을 내린 뒤에야 입국해 재판정에 설 것인지, 해외 도피생활을 계속 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 그는 어디 있나.
"부인과 외롭게 지내는 것으로 알고 있다. 어느 나라에 있는지는 모른다."

- 그와 연락을 취하고 있나. 최근 연락한 적은.
"말할 수 없다."

- 검찰은 金전회장을 직접 조사하지 못해 수사 진전이 없다고 한다.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변호인으로서 이러쿵저러쿵 말할 수 없다. 하지만 검찰은 피의자의 자백에 의존해 수사하는 관행을 지양해야 한다."

- 金전회장이 영국 비밀계좌인 BFC자금 25조원 중 일부를 비자금으로 조성했다는 의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金전회장이 25조원 조성 과정에서 절차를 무시한 것은 명백한 위법행위로서 사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대우그룹은 1998년 약 2조원의 유동성 자금이 부족해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수조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 25조원 중 일부의 사용처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전액을 부채상환 등에 사용했다.증빙자료 없이 인출된 일부 자금 역시 외국 은행의 차입금 이자 지급 등으로 사용했을 것이다. "

- 대우의 분식 규모가 41조9백억원에 이른다는 수사에 동의하나.
"납득할 수 없다. 대우의 영국 워딩 자동차 디자인 연구소나 대우의 국제적인 브랜드 가치 등은 상당했다. 이런 것이 자산평가에서 빠지는 바람에 분식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 앞으로의 계획은.
"재판정에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石변호사는 77년부터 대우그룹의 고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95년 5.18사건 재판 때는 전두환(全斗煥)전 대통령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