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커진 태평양 섬나라 정상회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일본과 남태평양 지역 도서국가 정상들이 참여하는 ‘태평양·섬 정상회의’가 25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키나와(沖<7E04>)현 나고(名護)시에서 열린다.

 1997년 시작된 이 회의는 일본 정부가 태평양제도포럼(PIF)에 가입하고 있는 14개 도서국가의 정상들을 3년마다 초청하는 일종의 ‘친목 회의’다. 하지만 올해엔 예년에 비해 훨씬 더 주목받고 있다. 미국 정부가 처음으로 정부 고위 인사를 대표로 파견했기 때문이다.

 일본 산케이(産經)신문은 “수수하기 짝이 없던 이 회의가 대니얼 크룬(사진) 국무부 부차관보 등 미 대표단의 참석으로 갑자기 각광받기 시작했다”며 “이는 중국의 해양진출과 군사적 위협 확대에 대비하려는 미국의 새로운 안보전략과 이 회의가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그동안 남태평양 지역 도서국가들에 대해 공격적인 외교전을 펼쳐왔다. 특히 풍부한 광물·어업자원에 눈독을 들였다. 과거 이 지역엔 정치적으로 중국보다 대만에 가까운 국가가 많았다. 하지만 중국이 2005~2009년 피지 등 6개 도서 국가에 6억 달러(약 7200억원)규모의 경제지원을 쏟아붓자 상당수 국가가 ‘친중국’을 표방하기 시작했다. 자연히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도 커졌다.

 중국의 해양진출 공세에 자극받은 미국이 움직이기 시작한 건 2010년이다.

 그해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도서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다시 끌어올리겠다”고 공개 선언했고, 그는 지난해 6월에 6일간 이 지역 9개 국가를 직접 방문하며 관심을 표명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오키나와에서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에까지 대표단을 보내게 됐고, 회의에선 참가국들과 방위교류협력 방안을 주로 논의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