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재건축 거지, 4년간 4억 허공에 날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재건축사업이 거의 실종되면서 재건축 추진 아파트를 갖고 있는 사람 상당수는 ‘하우스 푸어’로 전락했다. 하우스 푸어(House Poor)는 유주택자이지만 집값 하락과 대출이자 부담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을 뜻한다. 재건축 주민들은 자신들을 자조적으로 ‘재건축 거지’라고 말한다.

 이들은 2000년대 초·중반 집값 급등기 때 개발 이익을 기대하고 재건축에 뛰어들었다 발목을 잡혔다. 재건축은 요원한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던 집값은 곤두박질쳤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 사는 ‘재건축 하우스 푸어’ 3명을 인터뷰했다. 개포동 주공2단지 47㎡형(이하 전용면적)에 사는 김모(55·여)씨와 대치동 은마 전용 77㎡형에 투자한 유준상(55)씨, 잠원동 한신 2차 전용 52㎡형 거주자인 이모(43·여)씨다.

 -언제 재건축 아파트를 샀나.

 “(김)(이) 외환 위기를 벗어나면서 재건축 바람이 불고 집값이 들썩이던 2002~2003년이다. ”

 “(유)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재건축이 ‘돈’이 될 것으로 생각됐다. 전세를 끼고 투자했다.”

 - 10년 넘게 재건축이 제자리걸음이다. 문제가 뭔가.

 “(김) 당국의 과도한 규제 탓 아닌가? 정부는 정부대로, 서울시는 서울시대로. 소형을 많이 지어라, 임대를 늘려라 등. 규제가 심하다.”

 “(이) 주민들 간 이견이 크다. 주민 1000여 명이 각자 원하는 바가 달라 의견 통일이 어렵다. ”

 -사업 장기화에 따른 어려움은.

 “(김) 집이 낡을 대로 낡았다. 베란다는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 같 다. 전세를 주고 다른 집으로 전세를 가고 싶어도 낡은 집에 들어오려는 사람이 없다.”

 “(이) 이사온 뒤 9년이 지나면서 당시 유치원에 다니던 아이들 둘이 이제 중학생이 됐다. 각자에게 방을 주고 싶은데 집이 좁아 그러지 못한다. 중학생이 되기 전에 재건축이 끝날 것으로 기대했는데….”

 -집값은 많이 올랐나.

 “(유) 4년 전에 전세 2억5000만원을 끼고 4억원을 대출받아 10억5000만원에 샀다. 그동안 대출이자만 매달 200만원 정도씩 1억원가량 나갔다. 지금 시세는 8억원으로 4억원 정도를 허공에 날린 셈이다.”

 -어떻게 할 계획인가.

 “(김) 불편해도 재건축이 될 때까지 살 생각이다. ”

 “(유) 하루 빨리 재건축이 돼야 한다. 그래야 그나마 손해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이) 포기했다. 그런데 집이 안 팔린다. 집을 내놓은 지 벌써 1년이 지났는데.”

황정일·최현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