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다저스 역사 (1) - 개척자 다저스

중앙일보

입력

아메리칸리그의 양키스, 내셔널리그의 다저스.

다저스는 뉴욕 양키스와 함께 메이저리그의 양대 명가로 손꼽히는 구단이다. 비록 성적면에서는 비교할 바가 못되지만, 그동안의 업적을 고려하면 명문구단이라 불리기에 전혀 손색이 없다.

1947년 다저스의 단장 브랜치 리키는 1백년 가까이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던 '인종의 벽'을 허물었다. 최초로 흑인선수인 재키 로빈슨을 등용한 것. 그 후 로빈슨과 다저스는 온갖 박해를 견뎌내며 빅리그 역사에 선구자로 남았다.

1957년 구단주 월터 오말리는 프랜차이즈를 로스엔젤리스로 옮기는 파격을 단행한다. 뉴욕의 거대시장을 버리고 서부지역으로 이동한 사건은 말 그대로 '사건'이었다.

1995년 노모 히데오의 신인왕 등극은 새 시대를 알리는 전조였다. 노모와 박찬호의 대활약은 메이저리그 전체가 아시아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한 계기가 됐다. 이들의 소속팀이 다저스라는 사실은 결코 우연히 아니다.

이밖에 신시내티 레즈와 더불어 시작한 최초의 야간경기(1938년), 최초의 정규시즌 라디오 중계(1939년), 최초 연관중 3백만돌파(1978년)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다저스는 명실공히 '메이저리그의 개척자'였다.

다저스는 양키스(26회),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이상 9회)에 이은 월드시리즈 최다승 4위팀이다.(6회) 그러나 다저스의 사감(史監)에는 쓰라린 기억이 더 많다. 총 12번의 월드시리즈 패배는 최다 기록.

120년 다저스의 역사를 조감해보면 대체로 '뒷심 약한 팀'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다저스는 동률 1위로 마감한 시즌을 5번이나 가졌었는데, 그 중 타이 브레이크(tie-break)를 통해 우승을 확정지은 것은 1958년 한번뿐이었다. 막판 13연승으로 우승을 쏘아올렸던 1965년처럼 극적인 우승도 많았지만 '극적인 패배'는 더 많았다.

다저스에게는 자이언츠라는 앙숙이 있다.

뉴욕시절부터 서로 으르렁거리기를 멈추지 않았던 이들은 프랜차이즈 이전 후에도 각각 로스엔젤리스와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하여 라이벌 관계를 유지했다. 같이 동향팀이었던 양키스와의 사이가 조금이나마 덜 나빴던 것은 양키스는 월드시리즈에나 가서야 만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저스와 자이언츠간의 끈적끈적한 관계는 1951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황금시대'를 보내고 있던 다저스는 시즌 내내 선두를 유지했으나 막판 자이언츠에게 덜미를 잡혔고, 결국 타이브레이크 3차전에서 바비 톰슨의 한 방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1965년 역시 다저스는 최종전에서 자이언츠에게 동률 1위를 허용했고, 1승1패로 맞선 타이브레이크 3차전을 끝내기 밀어내기로 헌납했다.

이로부터 28년 뒤인 1993년 다저스는 라이벌에게 화끈한 고춧가루 세례를 퍼부었다. 자이언츠와의 최종전. 다저스는 이미 지구 4위가 확정되어 부담이 없는 상황이었고, 샌프란시스코는 승부의 향방에 따라 지구우승이 결정되는 중요한 경기였다.

하지만 승리는 스포츠정신을 발휘(?), 끝까지 최선을 다한 다저스의 몫이었고, 자이언츠는 통한의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2편에서 계속)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