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특목고 진학 로드맵

중앙일보

입력

학업성적이 우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한번쯤은 특목고 진학을 고민하게 된다. 특목고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1년 로드맵을 세우는 일이 우선시 돼야 한다. 특목고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1년간 치르는 학교 내신 시험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동시에 자기주도학습 영역활동과 인성영역의 활동을 확인해 자기개발계획서를 작성해야 하고, 작성된 서류를 바탕으로 면접에 대한 철저한 연습이 필요하다. 중학교3학년 1년간 특목고 진학에 필요한 활동들을 월별로 구분해 파악하고 대비하자. 각 시즌별로 해야 할 준비사항들은 연말로 미룰 경우 2학기 내신 시험과 비교과 활동을 관리하고 지원서류를 작성하는 데 방해를 받을 수 있다.

● 1~3월 진학 희망 고교 설정 ①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해서 진학하고자 하는 고교를 정한다. ② 진학목표고교에 대한 기본입학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파악한다. ③ 내신반영과목과 등급별 점수를 파악하여 현재 나의 수준을 파악한다. ④ 중간고사 준비를 철저히 한다.

● 4~5월 1학기 중간고사, 고교별 입시요강 발표 ① 우수한 중간고사 성적을 획득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② 외국어고·국제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경우 영어내신 1등급을 목표로 한다. ③ 자율형 사립고는 반영교과(주로 국영수사과)에서 상위 3% 이내 성적을 목표로 한다. ④ 자기개발계획서를 모의 작성해보고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파악한다.

● 6~7월 1학기 기말고사, 고교별 설명회 ① 중간고사와 동일하게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고교 유형에 맞춰 필요한 내신성적을 관리해야 한다. ② 작성한 자기개발계획서를 매끄럽게 수정한다. ③ 작성된 자기개발계획서를 바탕으로 모의면접을 실시해야 한다. ④ 진학하고자 하는 고교에서 진행하는 설명회에 참석해 입학에 도움되는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 8월 여름방학, 부족한 활동 보완 ① 진학을 희망하는 학교의 유형을 최종으로 결정해야 하 는 시기다. 외국어고의 경우엔 전공어도 결정해야 한다. ② 자기개발계획서를 보완하면서 모의면접 연습을 실시해야 한다. ③ 봉사, 체험활동, 독서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 9~10월 2학기 중간고사, 전국단위 자사고 원서접수 시작 ① 학교별로 2학기 기말고사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곳이 있다.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경우 2학기 기말고사 성적을 반영하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② 자기개발계획서를 최종 마무리하며 입학원서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③ 진학희망고교에서 진행하는 마지막 입학설명회에 참석하여 원서접수에 관련된 최종사항을 확인한다.

● 11~12월 2학기 기말고사, 외고 원서접수 시작① 원서접수 이후 반복적으로 모의면접연습을 통해 실전면접을 대비해야 한다. ② 작년 면접 기출 문항 및 자기개발계획서를 통한 예상문제를 준비하여 반복적으로 면접연습을 실시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