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고혈압, 적극적인 대처가 합병증 막는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사랑내과 인행환원장

고혈압은 우리나라 30대 이상 성인의 30%정도가 앓고 있는 치사율이 아주 높은 성인병이다.

혈압이란 심장이 우리 몸 구석구석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역할을 하여 혈액을 돌려 줄 때, 혈관에 미치는 혈액의 압력을 의미한다.

혈압은 정상, 고혈압 전단계, 고혈압으로 구분하게 되는데, 120/80mmHg 이하일 때 정상, 120-139/80-89 mmHg는 고협압 전단계, 140/90 mmHg 이상은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심장혈관질환의 위험성은 115/75mmHg를 기준으로 20/10mmHg가 증가할 때마다 2배가 되므로, 고혈압 전단계부터 운동 및 식이요법 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고혈압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혈압약 투약을 권유하면, “혈압약은 한 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을 먹어야 한다면서요?” 라고 물으면서 혈압약을 먹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런 경우 필자는 “맞습니다. 혈압약은 혈압을 치료해서 고혈압이라는 병을 없애는 것이 아니고, 혈압을 조절하여 정상으로 유지시켜 합병증을 예방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혈압약을 복용해야 하는 것이 맞지요. 또한 혈압약을 복용하다 갑자기 끊게 되면 반동현상이라는 것이 생겨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라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혈압약 복용을 안하거나 늦추는 것이 좋은 결정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니다’

혈압약의 복용은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래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그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생명을 단축시키거나, 합병증으로 인해 삶의 질이 많이 떨어뜨릴 수 있음에도 혈압약 복용이 불편하다하여 복용을 회피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일 것이다.

고혈압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높은 혈압이 혈관 벽에 작용하여 동맥경화 등의 혈관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혈관의 손상이 심할수록 뇌, 심장, 신장(콩팥), 눈 등 주요 표적장기의 손상도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표적장기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이 뇌경색, 뇌출혈과 같은 뇌혈관 질환과 심근경색증, 협심증과 같은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신부전, 망막출혈, 시력소실 등이다.

고혈압의 대부분은 그 원인을 알지 못하는 본태성 고혈압(일차성 고혈압)이다. 한 가지 요인이 아닌 여러 가지 요인이 결합하여 고혈압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 유전적요인(가족력)이 가장 중요하다. 생활습관의 개선 및 운동, 식이요법 등을 통해서 발생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을지는 몰라도, 유전적 요인 및 나이 등의 피할 수 없는 위험인자가 있어서 완전히 막기가 어렵다.

처음 혈압이 같은 환자라도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로 잘 대처하는 사람이 혈압조절도 꾸준히 잘 되고, 합병증의 발생도 줄어드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자신의 혈압에 관심을 가지고, 자주 측정해 보며, 위험요소가 있거나 고혈압단계에 들어서면 전문가(내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관리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의 정보성 보도 제공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