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인프라펀드 설립을 … 아시아 성장, 금융 안정에 달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중·일 30인회 참석자들이 1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7차 회의에서 ‘세계 경제 불확실성과 한·중·일 3국 협력’을 주제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참석자들은 아시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선 한·중·일 간 금융 분야 협력이 긴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성룡 기자]

한국·중국·일본의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가 16일 동북아개발은행과 역내 공동 인프라 투자펀드 설립을 비롯한 금융 분야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3국이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돼야 한다는 인식에서다. 이 회의의 제안들은 지난해 출범한 한·중·일 협력사무국을 통해 3국 정부에 전달된다.

 중앙일보가 중국 신화통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공동 주최해 이날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30인회 7차 회의는 ‘세계 경제 불확실성과 한·중·일 3국 협력’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사공일 전 재무부 장관은 “3국이 아시아 금융 안전망으로 추진해온 ‘치앙마이 이니셔티브(아세안과 한·중·일 3국 간 통화교환 협정)’를 궁극적으로 ‘지역통화·금융기금’으로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며 “그동안 학계에서 논의돼온 동북아개발은행 설립 방안을 한·중·일 정부 차원에서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무토 도시로(武藤敏郞) 일본 다이와 총연 이사장은 “무역과 투자 등에서 아시아 역내 통화를 더욱 활발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리샹양(李向陽)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장은 “3국이 외환보유액에서 미 달러 비중을 줄이고, 양자 무역에서 달러 대신 3국 통화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은 “아시아 성장 모델은 금융 안정성이 담보돼야 한다”며 역내 공동 인프라 투자펀드 설립과 금융기관 간 협력을 강조했다.

 13일의 북한 로켓(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일본 총리는 “북한이 벼랑끝 외교를 계속할 수 있는 것은 한·중·일이 하나의 소리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중국을 겨냥했다.

특별취재팀=박소영·장세정·이원진 기자(정치·국제부문), 김성룡 기자(영상부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