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어서 … 경기도청 광교 이전 전면 보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김문수 지사

경기도가 재정난을 우려해 신청사 건립 계획을 전면 보류했다. 현 재정상태로 3800억원(부지매입비 포함)에 달하는 예산이 들어가는 건립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용인시가 극심한 재정난으로 간부들의 급여를 삭감하는 등 ‘비상 관리체제’에 돌입한 데 따른 타산지석(他山之石) 효과로 볼 수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16일 “오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세수가 급감해 비상경영 체제에 나서야 한다”며 도청사 이전 사업을 보류한다고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경기도는 2016년 말까지 수원 광교신도시에 신청사를 지어 이전할 계획이었다. 현재 수원 팔달구 효원로에 있는 도청사는 1980년에 건립돼 낡고 비좁다. 김 지사는 “3월 말 현재 경기도의 세입은 부동산 거래세(취·등록세)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이나 줄어든 반면 영유아 보육료 870억원을 비롯해 올해 복지예산은 지난해보다 4600억원을 더 지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도의 재정이 이런 상황에서 민생·복지 등 주민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없는 신청사 건립을 도정의 1순위로 놓고 추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신청사 건립에 필요한 재원이 마련될 때까지 건립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도는 올해 3억9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신청사 기본·실시설계 용역에 들어가 내년 말 용역이 마무리되면 2014년께 착공할 예정이었다.

 사업 보류 결정에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의 반발이 우려된다. 도는 2년 전에도 호사청사 논란 우려 등의 이유로 사업을 보류했다가 광교 입주민들의 반발에 부닥치자 사업을 재추진해 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