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는 의회, 청원은 주민이 행정구역 통합 최종 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 등은 지난 13일 공동협의회를 열고 통합 방법을 결정했다. 청주시는 의회 의결로, 청원군은 주민투표로 통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청원군은 애초 청주시도 주민투표를 실시하는 방안을 요구했지만 ‘의회 의결’을 고수한 청주시의 입장을 존중해 결정안을 받아들였다. 청원군과 청원군민협의회는 20일쯤 전문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주민투표 실시를 위한 찬·반 여론조사를 진행한다. 청원군은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행정안전부에 주민투표를 건의할 방침이다. 주민투표는 행안부의 공표를 거쳐 6월 말쯤 실시되며 선거권을 가진 청원군민 11만9000여 명이 대상이다. 주민투표 일정이 결정되면 이종윤 청원군수가 직접 주민 설득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이 군수는 각 읍·면을 순회하며 주민투표 동참 홍보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청원군 남성현 행정과장은 “통합을 둘러싸고 찬반논란이 있기 때문에 의회 의결보다는 주민투표로 결정할 계획”이라며 “의회 의견과 여론조사 결과를 첨부해 주민투표를 건의하면 6월 말 투표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청주와 청원군의 주민·시민단체로 구성된 통합협의회는 행정구역 통합 전제조건인 상생발전안 65개 항목에 합의했다. 합의과정에서 청주통합협의회는 청원군민협의회가 제안한 5개 분야 39개 항목, 75개 세부사항 중 추가협의가 필요한 쟁점사항을 제외한 65개 항목을 받아들이면서 이뤄졌다. 그동안 쟁점사항 합의는 통합의 진정성을 두고 중요한 요소로 꼽혀 왔다. 주요 합의사항은 ▶통합시(市) 4개 구청 설치 ▶현행 읍·면 체제 기능유지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농정국 설치 ▶군 지역 위락단지 조성 ▶2개 구청 군 지역 설치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주민의사 반영한 혐오시설 입지선정 등이다. 두 협의회는 합의사항을 통합 전·후 이행한다는 법적 근거를 담은 ▶통합 시 특별법 ▶통합 합의사항 이행담보 조례제정 ▶합의사항 이행 감시를 위한 위원회 운영 등에도 합의했다. 통합 시와 구청의 주요보직을 청주·청원 동일비율로 배치하는 공무원인사 기준 마련과 통합 시 예산을 통합 전 당초예산 비율로 안배해 12년간 군 지역에 배분하는 재정 운용방안, 군 지역 북부·남부터미널 신설 등도 추가협의 항목에 포함했다. 두 협의회는 18일 3차 회의를 열고 최대 쟁점사안인 통합 시 청사 군 지역 설치 등 10개 항목은 추가 협의하기로 했다. 이어 청주시장, 청원군수에 합의사항을 건의할 방침이다.

 한범덕 청주시장은 “이번이 청주·청원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로 두 지역을 모두 발전시키고 부족한 것은 보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본격적으로 통합을 준비하는 만큼 충북도, 청원군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