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이 되어가는 ‘흡연 20년 뒤 폐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최근 5년간 폐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폐암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6년 4만2970명에서 2010년 5만4974명(연평균 증가율 6.4%)으로 늘었다. 해마다 평균 4만8000명이 폐암 진료를 받고 있는데 여기에 5년간 1조5000억원이 들어갔다.

 폐암 환자(2010년 기준) 중 남성이 69.4%로 여성(30.6%)보다 많고 60세 이상이 74.1%(4만 명)를 차지한다. 고령의 남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이유는 1980~90년대 70%를 넘었던 성인 남성 흡연율 때문이다. 담배를 피운 뒤 20~30년 후 폐암에 걸리는데 과거의 높은 흡연율이 지금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복지부는 이런 경향이 202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추정한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90년대 중반부터 꺾이기 시작해 2010년에는 48.1%(성인 남성 기준)까지 떨어졌다.

 만성폐색성폐질환(COPD)과 폐쇄성 혈전 혈관염(버거병)도 흡연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COPD 환자는 연평균 63만 명이 진료받고 있다. 여기에 4900억원의 진료비가 들어갔다. COPD는 폐 기능을 떨어뜨리고 만성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2010년 기준으로 남성이 52.4%며 50세 이상이 67.7%를 차지한다. 버거병은 2006년 3400명에서 2010년 4245명으로 늘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