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오래 걷기 힘든 이유 ‘척추’에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길거리를 지나가다 보면 특별히 무거운 짐을 든 것도 아닌데 불구하고 걷다 쉬다를 반복하는 노인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들은 퇴행성 척추질환 ‘척추관 협착증’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50대 이후에 발생하는 질병으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점점 좁아져서 생기는 병이다.

나누리인천병원 척추연구소 유동진 소장은 “척추관 협착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나이 탓”이라며 “나이가 들고 척추가 노화함에 따라 척추 뼈마디는 굵어지고,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인대 역시도 두꺼워져 결국 척추관이 좁아지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척추관 협착증 증상을 살펴보면 걸으면 다리가 저려 오래 걷기가 어렵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리 통증을 동반한 허리 통증이 발생하고, 허리를 구부리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허리를 구부리고 올라가는 오르막길보다 등허리를 꼿꼿하게 펴야하는 내리막길을 갈 때 힘들다는 느낌을 받는다. 또한 딱딱한 방바닥보다 푹신한 침대가 더 편하게 느껴진다.

유동진 소장은 “척추관 협착증의 증세가 심할 경우라면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발 저림이 심한 경우라면 척추관 협착증이 상당히 진행 됐을 수 있다”고 했다.

척추관 협착증은 증세의 심한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뉜다. 비수술적인 요법 중 하나가 보존적 치료법이다.

보존적 치료법의 종류로는 운동을 활용한 ‘스포츠 재활 운동 프로그램’이 있으며, 주사를 이용한 ‘감압신경 성형술’, ‘신경가지 치료술’ 등도 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도 호전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경우라거나 조금만 걸어도 쉬어 야 할 만큼 보행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결국 수술이 불가피해진다.

유동진 소장은 “척추관 협착증의 가장 보편화된 수술법으로는 ‘미세 현미경 감압술’이 있다”며 “현미경을 보면서 수술하기 때문에 보다 정교하고, 안전하다”고 했다.

미세 현미경 감압술은 1~2cm의 최소 절개로 수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흉터가 거의 남지 않으며 수술한 바로 다음 날부터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회복력이 빠른 것이 장점이다.

- 도움말 : 나누리인천병원 유동진 소장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의 정보성 보도 제공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