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상용차 퇴출, 불매운동으로 확산

중앙일보

입력

삼성상용차 퇴출과 관련한 대구지역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10일 오후 동성로에서는 '삼성카드 안쓰기 운동' 이 열렸으며, YMCA는 주말께 대구시청 앞에서 '삼성특혜 문희갑 시장 규탄대회' 를 열 예정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다시 시민단체와 시의회 등을 중심으로 삼성제품 불매운동으로 번져가는 실정이다.

◇ 경과 = 달구벌공무원직장협의회는 지난 6일 성명을 내고 '대구시의 삼성제품 구매중단을 포함한 범시민 불매운동' 을 제의하고 나섰다.

이날 오후엔 시와 시의회, 경제.노동단체, 금융기관, 삼성상용차 협력업체들이 모인 가운데 긴급 대책회의가 열렸다.

이후 시민단체와 공무원직장협의회.노동단체 등 지역 39개 단체들은 8일 '삼성제품 불매와 삼성그룹 규탄을 위한 시민모임' 을 결성하고 삼성금융플라자, 홈플러스앞 등지에서 규탄대회를 벌였다.
시의회는 또 9일 대표단을 서울 삼성그룹 본사로 보내 항의하기도 했다.

시의회 및 시민단체는 "삼성이 정부의 퇴출결정 이전에 상용차 사업을 포기했다" 며 "이는 투자유치를 내세워 대구로부터 이익만 챙긴 배신행위" 라고 주장하고 있다.

◇ 삼성상용차 비상대책위 = 비대위측은 회사가 투자를 하지 않아 퇴출됐다며 고용보장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비대위측은 "회사측이 고용보장 등 생존권 보장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며 "믿을 만한 대책을 내놓으라" 고 요구했다.

비대위 김영호 (金英浩.38)
위원장은 "회사가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면 협상에 나서겠다" 며 "사원들의 고용.생존권 보장을 위해 그룹을 상대로 싸울 것" 이라고 말했다.

◇ 삼성측 = 비대위가 협상팀을 구성할 경우 언제든지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앞서 회사측은 고용보장 판매한 상용차의 A/S조직 구성 사직하는 사람에 대한 위로금 지급 등을 비대위측에 통보했다.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는 상용차 직원들을 관계사로 재배치하는 문제에 힘을 쏟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사원들의 재고용을 위해 이미 관계사 사장단회의를 열어 논의를 끝냈다" 며 "사원들이 원할 경우 얼마든지 일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또 시민단체 등의 반발과 관련, "대구시민들에게 미안한 따름이며, 대구에 어떤 형태로 다시 투자할 지 고민중" 이라고 밝혔다.

◇ 협력업체 및 대구시 = 삼성상용차는 1차 협력업체만도 2백26개에 이르나 대구지역 업체는 32개사. 이 가운데 삼성에만 납품해온 업체는 7개업체다.

이들은 "삼성만 믿고 추진해온 기술개발 등의 투자가 허사가 됐다" 며 긴급경영안정자금 등의 지원을 바라고 있다.

한편 대구시의 한 간부는 "개인적으로는 반 삼성 정서를 이해하지만 합법적인 절차를 떠난 감정적인 대응에 곤혹스럽다" 고 밝혔다.

정기환.홍권삼 기자 <einbau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