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새 7500명 희생 … 그래도 오지 않는 시리아의 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시리아 사태가 15일로 1년을 맞는다. 지난 10일 북부 이드리브에서 정부군의 포격으로 남편과 두 자녀를 잃은 여인이 흐느껴 울고 있다. [이드리브 AP=연합뉴스]

지난해 3월 15일 시리아 남부의 작은 도시 다라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아랍권을 뒤흔든 ‘재스민 혁명’의 영향으로 시민들이 처음 거리로 나선 ‘존엄의 날’이었다. 하지만 시리아 정부는 탱크와 전함까지 동원해 시위대를 강경 진압했고, 시민들은 이에 끊임없이 저항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시리아에서는 피바람이 멈추지 않고 있다. 유엔은 시리아의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지금까지 7500명이 숨졌다고 보고 있지만, 인권단체 시리아인권네트워크는 사망자를 1만 명으로 집계했다.

 이에 최근 코피 아난 유엔·아랍연맹 공동 특사가 시리아를 방문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두 차례 만나는 등 국제사회 역시 시리아 사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하지만 시리아 정부를 두둔하는 러시아와 중국의 제재 반대 등으로 국제 중재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2일(현지시간)에도 뉴욕에서 회의를 열고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시리아가 더 깊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는 해결 방법에 있어서 이견을 보였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러시아와 중국을 향해 “자국민을 학살하는 특정 정부에 대해 안보리가 침묵해서는 안 된다”며 “시리아의 위기를 끝내기 위한 국제사회의 인도적·정치적 노력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안보리 차원의 행동은 예단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며 “무장한 반정부세력 역시 지금 상황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반정부 세력의 거점이었던 시리아의 중서부 도시 홈스에서 대규모 학살이 일어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권이 국제사회의 군사적 개입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11일 홈스 인근에서 발견된 50구 내외의 시신은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였고, 총에 맞거나 불에 탄 시신도 있었다. 정부는 무장 테러 세력이 저지른 일이라고 발표했지만, 목격자의 증언 등으로 미뤄 정부군이나 정부가 고용한 폭력배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