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문성근 기자회견 직전 부랴부랴 찾아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6일 민주통합당은 임종석 사무총장의 거취를 둘러싸고 온종일 출렁였다. 전날 심야 최고위원회의에서 임 총장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 데 이어 이날 오후 1시쯤엔 문성근 최고위원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 총장의 ‘용퇴’를 공개 촉구할 것이란 소식이 퍼졌다. 회견 사실을 사전에 전혀 모르고 있던 한명숙 대표 측이 부랴부랴 설득에 나서 문 최고위원, 임 총장과 3자 회동을 제안하면서 오후 2시로 잡혀 있던 기자회견은 5분 전에서야 가까스로 연기됐다.

 오후 2시부터 4시30분까지 2시간반 동안 이어진 3자회동에서 문 최고위원은 “개혁공천 실종에 따른 민주당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임 총장의 용퇴가 불가피하다”고 거듭 촉구했다. 그러면서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한 대표가 직접 나서서 결단해야 한다”며 한 대표를 압박했다.

 이에 대해 임 총장은 “8일께 야권연대 협상이 마무리된 뒤 정국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임 총장의 거취에 대해 특별한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새누리당에 역전된 민주당 지지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문 최고위원의 지적에는 충분히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 대표 측근은 전했다.

 임 총장 사퇴 논란은 최근 4·11 총선에 대한 당내 위기감이 커지면서 더욱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다. 전·현직 의원들이 거의 대부분 공천을 받고 임 총장과 이화영 전 의원 등 유죄 전력이 있는 후보들이 잇따라 단수 공천되면서 ‘개혁공천’ 실종에 대한 비판여론이 증폭되고 있다는 게 현장에서 뛰고 있는 후보들의 공통된 우려다. 수도권의 한 후보는 “지지도가 썰물처럼 빠지는 게 눈에 보일 정도”라며 “한 달 전과 비교할 때 최소한 10%포인트 이상 내려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에선 한 대표로서도 더 이상 임 총장 문제를 방치할 수만은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이날 문 최고위원이 ‘총대’를 메고 나서자 몇몇 최고위원도 “총선을 한 달여 앞둔 상황에서 미적대기만 하다가는 반전의 기회조차 얻지 못할 수 있다”며 그의 주장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당 핵심관계자는 “한 대표도 상황의 심각성을 누구보다 깊이 인식하고 있는 만큼 임 총장 문제를 놓고 오래 시간을 끌진 않을 것”이라며 한 대표의 ‘결단’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