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1주년 맞은 인터넷PC

중앙일보

입력

정보통신부 주도로 100만원 이하의 저가형 PC보급을 통해 국민정보화를 위해 추진한 인터넷PC사업이 20일로 1주년을 맞았다.

인터넷PC는 정통부의 당초 의도대로 100만원대 이하의 저가형 PC를 우체국 등을 통해 현금 또는 우편적금을 통해 보급함으로써 국내 PC가격 인하를 유도했고, 그 결과 대량의 PC가 서민층에 보급됨으로써 국민정보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PC는 판매량, 시장점유율 등에서 초반에 성공적인 실적을 거두었으나 대기업들의 PC가격인하로 인터넷 PC와의 가격격차가 줄어들었고, 기술발전에 따른 부품가격 인하요인 등을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해 올 1월부터 판매량이 급감하는 등 문제점도 함께 드러내고 있다.

▲인터넷PC란= 정통부가 국민정보화 및 PC시장 활성화를 위해 PC사양을 정하고, 가격을 100만원 이하로 책정한 뒤 중소 PC생산업체 12개사와 인터넷접속서비스(ISP)업체 4개사를 선정, 이들로 하여금 사양과 가격에 맞춰 PC를 생산해 `인터넷PC''라는 공통브랜드로 판매토록 한 것.

이 과정에서 우체국은 컴퓨터적금을 도입, 1회차 적금을 불입한 뒤 인터넷PC를 구입할 경우 인터넷PC업체에 대출형식으로 PC 대금을 지급, 서민들의 PC구입 부담을 경감해주고 있으며 인터넷PC 주문 창구역할을 맡고 있다.

▲실적 및 성과= 지난 8월말 현재 인터넷PC 판매대수는 데스크탑PC의 경우 39만 6천751대로 집계됐고, 노트북PC까지 포함할 경우 40만5천526대에 이르고 있다.

인터넷PC가 출시된 작년 10월20일이후 한달만에 10만여대가 판매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곧바로 판매량 감소세가 이어지기 시작했다. 데스크탑PC판매량을 보면 올들어 1월 8만여대, 2월 6만5천여대, 3월 3만8천여대로 감소세가 지속되다가 4월 2만여대, 5월 1만2천여대, 6월 1만여대로 뚝떨어져
급기야 7월과 8월에는 각각 6천여대, 3천7백여대에 그치고 있다.

인터넷PC 출시로 인해 150만∼200만원에 이르던 대기업의 PC가격이 110만∼120만원으로 낮아져 국민들의 PC구입비용이 줄어들면서 PC보급이 확대돼 침체국면을 맞던 국내 PC산업의 활력소가 됐다.

또 정통부는 인터넷 PC 구매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우체국에 컴퓨터적금을 도입, 서민층의 PC구입을 장려한 결과 계층간 정보격차문제 해소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통부 김호 지식정보산업과장은 "인터넷PC의 가장 큰 성과는 대기업들의 PC시장 과점체제하에서 지나치게 고가로 책정됐던 PC가격을 크게 낮춘 점"이라고 말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도 인터넷PC중간평가 보고서를 통해 PC가격인하외에 소프트웨어와 A/S 등을 하드웨어 가격결정에서 분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정품사용을 유도하는 실적을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PC판매량 증대를 통해 국내 PC부품산업의 활성화에 한몫을 한 점도 인터넷PC의 성과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PC의 출시는 PC가격인하, 소프트웨어 정품사용 유도, PC부품산업 활성화 등을 통해 국민정보화와 지역간, 계층간 정보화격차 해소에 기여한 것으로 요약된다.

▲문제점= 대기업들의 PC가격인하로 인해 인터넷PC가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는 데 대해 신속한 대응이 부족해 판매량 급감으로 이어졌다.

또 인터넷PC 판매 부진이후 일부 인터넷PC업체들이 인터넷PC판매로 얻은 브랜드명을 이용해 인터넷PC보다 낮은 가격의 독자모델을 개발, 판매하는 등 인터넷PC업체들 사이에 결속력이 떨어지고 도덕적 해이 증세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같은 인터넷PC사업취지에 어긋나는 업체들의 행위에 대해 감시, 견제하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인터넷PC협회가 인터넷PC 사업취지에 어긋나는 사업자들을 퇴출시키거나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A/S 및 설치체계가 중복되거나 일관성이 없어 소비자 불만을 야기할 수 있기때문에 우체국을 통해 소비자민원을 접수해 인터넷PC협회나 각 인터넷사업자들에 통보하는 체계를 마련, 신속한 민원해결이 진행되도록 A/S 및 설치체계를 개선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외에도 인터넷PC사업은 `정부의 시장 개입'' 논란이 있는 만큼 정통부의 역할을 가능한 축소하고 인터넷PC협회에 사업추진의 핵심역할을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