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인 대리등록 고교생 알바 동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전남 장성의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경선 투표 선거인단 등록 과정에서 불법적인 대리등록이 이루어졌음을 경찰이 포착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용의자들은 선거인단 인터넷 등록 절차를 잘 모르는 노인들에게 전화를 걸고 휴대전화에 뜬 ‘본인 확인 인증번호’를 알아내는 수법으로 선거인단 대리등록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대리등록을 위해 고교생이 포함된 아르바이트생을 동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2월 22일자 22면>

 전남 장성경찰서는 “21일 장성읍내 한 사무실에서 김모(34)씨와 박모(17·고교생)군 등 아르바이트생 5명의 선거인단 등록 대행 현장을 적발했으며 이 사무실에서 압수한 노트북 등 컴퓨터 본체 6대를 전남지방경찰청으로 보내 분석을 의뢰했다”고 22일 밝혔다. “김씨는 자신이 민주통합당 장성지역위원회 공보부장이라고 주장했으나 당원증은 없었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은 “김씨와 특정 후보와의 연루 여부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으며, 선거인단 대리등록이 특정 후보 지지를 위한 것인지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선거구에선 4선에 도전하는 이낙연 의원과 ‘나비축제’로 유명한 3선 군수 출신의 이석형 예비후보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박군 등은 ‘20일부터 시간당 4500원을 받고 70세 이상 노인 10여 명을 국민경선 선거인단으로 등록했다”고 경찰 조사에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사전에 전화번호를 파악한 노인에게 전화를 걸었다. 노인들에게 지지 후보와 주민등록번호를 물어본 뒤 이들 중 일부의 신상 정보를 선거인단 모집 홈페이지에 입력했다. 이어 노인들의 휴대전화에 문자메시지로 날아온 ‘본인 확인 인증번호’를 물어본 뒤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노인들을 선거인단에 등록시켰다. 이름·주민등록번호·전화번호·인증번호만 알면 선거인단 대리등록이 가능한 점을 악용한 것이다.

 전남 함평·영광·장성은 대표적 농어촌 복합 선거구로 지난해 말 기준 인구수는 13만9517명이며 유권자 수는 11만6289명이다. 이 중 65세 이상 노인층이 30%대에 달한다.

 주정재 장성경찰서 수사과장은 “특정 후보의 사주를 받 고 선거인단 대리등록 업무를 했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성=유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