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도 비축유 방출 가능…산유국, 유류세 인하 촉구

중앙일보

입력

사우디 아라비아 등 산유국들이 현재의 고유가는 석유 수입국들의 높은 유류세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유럽도 미국에 이어 전략비축유를 방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유럽의 전략 비축 석유 중 일부를 방출하는 방안과 관련 "그것도 가능한 여러 대책들 중 하나"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EU 교통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의 대변인 질레스 간텔렛이 25일 밝혔다.

간텔렛 대변인은 "그러나 그런 비축유는 각 회원국이 보유하고 있는 만큼 우리는 그런 수단을 사용하기 전에 회원국들과 깊이 있게 논의를 해야한다"면서 "EU 공동의 비축유는 없다"고 말했다.

EU 회원국들은 EU 지침에 따라 국제 원유가격의 급등에 대비하기 위해 최소한 90일 사용분의 원유나 석유제품을 비축하게 돼 있다.

간텔렛 대변인은 전략 비축유 방출 문제는 오는 29일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재무장관 회담에서 논의될 가능성이 높지만 EU 집행위원회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산유량을 늘리도록 계속 압력을 가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석유는 EU 회원국 에너지 수요의 40%를 차지하며 필요한 석유 대부분은 중동 산유국들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한편 사우디 아라비아의 하마드 알-사야리 중앙은행 총재는 25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세계은행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합동 정책위원회인 이른바 `개발위원회'회의에 참석, "주요 석유 소비국들 특히 석유제품에 과도한 세금을 물리고 있는 국가들은 시장 안정을 위해 자기들의 역할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선진국들은 석유제품에 대해 최고 300%까지 세금을 내는 소비자들에 대한 세금부담을 줄여줌으로써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바레인의 압둘라 하산 사이프 재정 국가경제 장관은 최근 석유시장의 불안정은 선진국에서 부분적으로 석유제품 소비자가격의 75%까지 차지하는 높은 세금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프라하.브뤼셀 AFP.교도=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