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중국 성장률 반토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중국이 유럽위기 파장을 막아줄 수 있을까. 국내 경영자·투자자들이 올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대목이다. 실제 중국 경제가 탄탄하게 성장한다면 유럽발 경제한파는 한반도에 미치지 않을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이 7일 내놓은 올해 중국경제 전망을 보면 그렇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IMF 중국사무소는 이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중국을 위협할 유럽발 리스크는 명백할 뿐 아니라 크다”며 “최악의 경우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4%포인트 정도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IMF가 최근 수정해 내놓은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는 8.2%다. 이전 전망치는 9%였다.

 IMF 경고대로라면 성장률이 중국 정부가 내심 최저 성장률로 설정한 8%보다 한참 아래다. 중국의 노동과 자본의 증가율을 감안하면 엄청난 경착륙이다. IMF는 한 걸음 더 나갔다. “중국 정부가 (유럽발 경제한파에) 대응하지 않으면 소비자물가뿐 아니라 자산 가격도 디플레이션(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에 빠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착륙 후유증 가운데 가장 무서운 자산 디플레도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산 디플레는 일본을 ‘잃어버린 20년’이란 늪에 빠뜨렸다.

 대책이 없는 것은 아니다. IMF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 정도 되는 돈을 투입해 경기부양에 나서라고 권했다. 1조4160억 위안(약 250조원)을 경기부양에 쓰라는 주문이다. 미국발 금융위기 때인 2008년 경기부양(4조 위안)의 35% 수준이다. 중국 중앙정부의 곳간도 그득하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GDP의 3% 정도 경기부양은 중국 정부에 어려운 일이 아니다”고 보도했다.

 IMF는 “중국 정부가 GDP의 3% 정도를 경기부양에 쓰면 유럽이 깊은 침체에 빠지더라도 올해 성장률은 7.2% 정도는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IMF는 경기부양 방식도 제안했다. 중국 정부가 직접 나라 곳간을 풀어 경기부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IMF는 “중국 정부가 금융회사를 움직여 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하면 부실화와 인플레이션이 심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강남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