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영화채널 캐치원, 미 투자받아 'HBO' 로 변신

중앙일보

입력

유료영화채널 캐치원 (CH31) 이 다음달 2일부터 'HBO'로 이름을 바꾸고 프로그램 강화에 나선다.

케이블 영화채널 캐치원과 OCN(CH22)을 운영하는 (주)오리온 시네마네트워크 (이하 OCN) 의 박준서 대표는 18일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 미디어그룹 타임워너 엔터테인먼트의 케이블 영화채널 HBO (Home Box Office) 와 브랜드 및 프로그램 독점 공급 계약을 맺었다" 고 밝혔다.

미국내 케이블 시청가구의 50%를 유료시청자로 확보하고 있는 미국 HBO는 1천2백50만달러 (1백40여억원) 의 자본도 투자, (주) 온미디어에 이어 OCN의 2대 주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올해 에미상 4개부문 수상작인 TV시리즈물〈소프라노〉 , 존 쿠색 주연의 영화〈잭 불〉등 HBO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국내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개봉된 흥행영화들의 판권구입과 프로그램 편성은 지금처럼 OCN이 전담하는 방식이라 해외 자본의 국내 방송계 진출 교두보만 확보해준 것 아니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OCN측은 "그동안 캐치원 프로그램이 별도 유료채널의 몫을 제대로 못한다는 시청자의 불만에 따라 채널 혁신 차원에서 브랜드까지 바꾸기로 한 것" 이라고 해명했다. 실제 캐치원의 가입자수는 IMF경제위기 이후 정체, 현재 16만5천명으로 전체 케이블 가입자의 19%에 불과하다.

간판을 바꿔달면서 HBO는 한달 평균 35편의 개봉 신작을 구매해 밤 10시대에 집중 편성할 계획이다. 이같은 구매량은 캐치원 시절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계획대로라면 연간 국내 개봉영화의 90%에 달하는 외화 3백여편.한국영화 30여편을 개봉 후 10~16개월 이내에 방송하게 된다.

HBO는 새 출범 특집으로 10월 1일 밤 12시〈해피엔드〉를 시작으로〈씬레드라인〉〈박하사탕〉〈페이백〉〈바스킷볼 다이어리〉〈스템맘〉등을 준비, 10월 2일~4일 3일간 일반 케이블가입자들에게도 무료로 방송한다.

또 16~21일에는〈러브레터〉〈철도원〉〈소나티네〉〈사무라이픽션〉등 일본영화를, 11월에는〈사구〉〈블레이드 러너〉의 감독판 (director 's cut) 을, 12월에는〈룰루〉〈섹스 - 애나벨 청 스토리〉〈감각의 제국〉등 성인물을 방송할 예정이다.

박준서대표는 "일반영화채널인 OCN에서는 개봉후 5년 이상된 작품만을 방송, HBO의 차별성을 더욱 부각시킬 것" 이라며 "내년에 신규 채널 설립이 등록제로 바뀌면, 지금과 같은 수신료로 HBO 채널을 하나 더 방송하겠다" 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