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銀-ADB '아시아 경기저항력 증대'

중앙일보

입력

아시아 국가들은 올해 들어 세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선데다 각국의 구조조정 개혁 등에 힘입어 금융 위기의 위험성이 줄어들었다고 세계은행(IBRD)이 밝혔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AWSJ)은 최근 IBRD가 내놓은 상반기 아시아 경제 보고서에서 올해 아시아 지역 대부분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지난해의 6.9%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와이 마사히로 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 연구원이 기자회견에 제출한 이 보고서는 그러나 2001년에는 '일부 지역의 경우 둔화가 예상되며 한국 등은 이미 둔화세가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올들어 시작된 유가폭등이 아시아 국가들의 지속적인 성장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현재 배럴당 34달러까지 치솟은 유가가 2001년에도 IBRD가 예상하는 배럴당 25달러 위에서 거래될 경우 아시아 국가들에 고통을 안겨주는 등 유가가 2001년 이후의 아시아 성장 여부를 판가름해 줄 와일드 카드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 아시아 국가들이 97년 이후 역내에 몰아 닥친 금융위기로 막대한 부채를 안게된 후 여전히 충격에 약한 면모를 떨치지 못했다고 강조한 뒤 '아시아 국가들은 이런 점을 감안해 최근의 긍정적인 뉴스들로 경제적 약점들을 숨기거나 개혁이 후퇴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18일 올해 아시아 경제가 국내 수요 및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낙관한 뒤 역내 GDP 예상 증가율을 당초 6.2%에서 6.9%, 또 2001년의 경우 6.0%에서 6.5%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올해와 2001년도의 GDP 예상률을 당초의 7.5%와 6%에서 각각 8.3%와 6%로 수정하는 등 한국 외에 홍콩, 싱가포르,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 등이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ADB는 그러나 급변동 국면의 '롤러코스트형(型)' 금융시장 외에 미국 경기의 '경(硬)착륙', 기대에 못미치는 유럽과 일본의 경기 회복, 일부 국가들의 구조개혁 부진 등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들이라고 덧붙였다.

(홍콩=연합뉴스) 홍덕화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