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욱신’ 퇴행성 관절염 대책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도관홍 과장

나이가 들면 얼굴에 주름이 생기고, 흰머리가 늘어나듯이, 우리 몸의 관절에도 노화가 찾아온다. 관절노화의 대표적인 예가 퇴행성 관절염이다.

퇴행성 관절염이란 관절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연골, 즉 물렁뼈가 닳아 없어지면서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것은 관절에 통증과 부종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더욱 진행되면 관절변형에 의한 운동제한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체중을 지탱해야 하는 무릎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대표적인 예이다.

강서 나누리병원 관절센터 도관홍 과장은 “무릎의 통증을 일으키는 퇴행성 관절염은 초, 중, 말기로 구분된다. 초, 중기에 발견된 퇴행성 관절염은 약물과 물리치료를 통하여 어느 정도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생활습관의 교정을 통하여 말기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하며, “하지만 이미 진행되어버린 퇴행성 관절염의 말기 상태는 관절연골의 심각한 마모에 의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상된 관절면을 새로운 관절로 대체해 주는 ‘인공관절 치환술’이란 수술적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라고 전했다.

게다가 강서 나누리병원에서의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 컴퓨터가 적용된 수술법을 이용하며, 이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정확하게 위치를 찾아내는 GPS 원리를 수술에 그대로 도입하여 기존의 수술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줄인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하여 도관홍 과장은 “최소한의 피부 절개로 수술 후 통증 역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재활의 일정이 단축되어 회복도 빨라지고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소개하였다. 실제로 세계적 관절 학회의 여러 연구를 통한 통계 결과,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95%에서 현저한 통증 감소와 함께 관절의 유연성 및 운동성 증가가 이루어져 삶의 만족도 또한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도관홍 과장은 “수술 후에는 보다 효과적인 관절 부위의 강화 운동이 필요한데, 일상생활에서는 평지 걷기와 수영이 가장 추천된다”며, “특히, 허벅지 앞부분의 근육, 즉 대퇴사두근의 근력강화 운동이 재활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덧붙여, “운동은 자연스럽게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좋으며, 평기 걷기는 일반성인의 보행 속도로 하루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좋고, 수영은 자유형이나 배형 등의 수영법도 좋지만 단순히 물 안에서 30분 정도 걷는 운동도 매우 좋다.”고 하였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는 스트레칭을 통하여 딱딱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고, 운동 후에는 10~20분 정도 시원한 얼음 찜질을 통하여 운동으로 인해 나타난 열감과 붓기를 안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