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나흘간 200여 명 사망 … 유혈사태 악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지난해 3월부터 민주화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시리아에서 정부군의 강경 진압 등으로 나흘 사이 200여 명이 숨지는 등 유혈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다. 아랍연맹은 상황 파악을 위해 시리아에 파견했던 감시단의 활동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시리아 제재 결의안을 논의 중이다.

 AFP통신은 시리아인권감시단 등 인권단체 활동가를 인용해 “26일 이후 나흘 동안 정부군의 진압 등으로 212명이 숨졌으며, 사망자 대부분이 민간인”이라고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엔은 시리아 사태 발생 이후 최소 5400명이 사망했다고 집계했다.

27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사크바에서 열린 반정부 시위 중 시위대가 시민군에 합류한 탈영병들을 어깨에 태우고 행진하고 있다. [사크바 로이터=뉴시스]

 격전이 벌어진 곳은 반정부 시위의 근거지인 중서부 도시 홈스와 하마, 북부 도시 이들립이었다. 특히 AP통신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교외 지역인 크파르 바트나·샤크바·지스렌·아르벤에서도 사흘 동안 100명 가까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다마스쿠스 인근에서 정부군이 이렇게 집중적인 공격을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정부의 강력한 통제 아래 있던 다마스쿠스 근처에서도 최근 눈에 띄게 탈영병이 늘자 정부가 이를 차단하기 위해 모든 병력을 쏟아부은 것이라고 AP통신은 설명했다.

 곳곳에서 민간인이 희생되자 나빌 알아라비 아랍연맹 사무총장은 27일 성명을 내고 감시단 활동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감시단 활동 중에도 유혈진압을 멈추지 않는 시리아 정부에 경고를 보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아랍연맹은 지난달 시리아의 인권상황 등을 살펴볼 감시단 165명을 파견했었다.

 이처럼 최근 며칠 사이 시리아 사태가 더욱 격화한 데는 유엔 안보리의 시리아 제재 결의안 논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영국·프랑스·독일·모로코가 주도하는 유럽과 아랍 국가들은 최근 아랍연맹의 시리아 평화 계획안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시리아 제재에 모든 국가가 동참해 달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안보리에 제출했다. 아랍연맹은 앞서 지난해 11월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부통령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연합정부 활동을 통해 2개월 동안 체제를 전환한다는 내용의 계획안을 마련한 바 있다.

 하지만 실제로 안보리가 결의안을 채택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10월에도 시리아 제재 결의안이 상정됐지만 러시아와 중국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바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이번 결의안에 대해서도 “선을 넘은 조치로, 시리아 무기 수입 금지와 체제 전환 등 모든 제재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