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쟁점 된 ‘청주·청원’ 통합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6월까지 행정구역을 통합을 결정할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이 연초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통합의 한 축인 청원군의 민간협의체가 활동중단을 선언한데다 지역 정치권마저 통합 흔들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청원군의 민간협의체인 통합군민협의회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가 성의 있는 태도를 보일 때까지 활동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청주시가 시민협의회 구성을 지연하고 있다는 게 주된 이유다. 통합군민협의회 이수한 공동위원장은 “두 차례나 청주시에 조속한 시민협의회 구성을 촉구했지만 묵묵부답”이라며 “협의 안건의 합의 없이는 통합을 진행하지 않고 6월 주민투표도 반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청주시에 ‘청원·청주 상생발전 방안’ 39가지를 제시해 논의의 여지를 남겨뒀다.

 반면 청주시는 서운하다는 입장이다. 통합을 위해 두 단체가 교류를 진행 중인데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알리는 게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한범덕 청주시장은 “청원군협의회가 시민협의체 구성에 대해 직접 얘기한 적이 없다”며 “이 같은 사실을 언론보도로 소식 접했다”고 밝혔다. 청주시는 청원군민협의회가 제시한 방안에 대해서는 부서별 검토를 거쳐 다음 달까지 답변을 보낼 방침이다. 그러나 청주시의 고위 관계자는 “협의회 문제는 2010년 도지사와 청주시장, 청원군수가 합의한대로 각계가 참여하는 공동추진협의회로 구성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두 지역의 대립이 팽팽히 맞서자 충북도는 지난 10일 도와 시·군 관계자를 불러 청주시가 시민협의회를 구성하고, 두 시·군이 별도로 공동협의회를 설치하기로 하는 중재안을 마련했다.

 두 지역간 갈등이 표면화되는 가운데 4.11 총선을 앞두고 지역 정치권에도 통합이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각 정당과 후보마다 유·불리를 놓고 저울질하는 양상이다. 통합이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발휘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에 각 후보진영에서의 찬반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한나라당 송태영·오장세 예비후보(청주 흥덕을)는 지난 13일 “청주·청원 통합을 총선 전에 마무리하고 심판 받아야 한다”며 “청주시장과 청원군수가 통합에 대한 진정성을 보이라”고 촉구했다. 통합이 정치문제로 삼아 갈등의 소지를 만들지 말자는 취지다. 송 후보는 “통합은 민간이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하고 정치권이 결정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민주통합당 측은 “그동안 주민 간 견해 차와 정치권의 개입으로 통합이 세 차례나 무산됐다”며 “총선을 앞두고 오히려 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만큼 두 지역의 주민에게 맡겨두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한편 두 지역의 행정구역 통합은 1994년, 2005년에 이어 2010년 초까지 세 차례나 추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이후 2010년 지방선거 때 충북도지사·청주시장·청원군수가 공동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재추진됐다.

신진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