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폰 유료화 추진

중앙일보

입력

시내전화 요금으로 국제전화를 걸 수 있어 ''공짜 전화'' 로 알려진 인터넷폰이 사실상 유료화의 길을 걷고 있다.

이용자와 통화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업체로선 통신비 부담이 갈수록 커져 경영난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새롬기술.웹투폰.텔레프리 등 국내 10여개 인터넷폰 업체들은 그러나 기존 일반인 대상의 음성통화를 당장 유료화하기보다는 기업이나 소호(SOHO)를 겨냥한 고품질 서비스들을 선보이는 전략으로 유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왜 유료화하나=인터넷폰은 그동안 전용 통신망 이용료와 해외 전화업체 접속료 등 고정비용이 갈수록 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폰 업체들은 무료 서비스가 가입자 유치나 이미지 확산에는 기여했지만 반대로 수익기반을 악화시켰다는 판단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현재 4백만명에 달하는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통화량 때문에 회사가 부도 위기까지 몰릴 만큼 경영에 주름살을 드리울 정도" 라고 말했다.

배너 광고 등 현재의 수익 구조로는 통신비용을 메울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닷컴 위기설이 불거진 이후 거의 유일한 수익원인 광고 매출과 투자 유치마저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 어떻게 바뀌나=새롬기술.웹투폰.텔레프리 등 국내 대표적인 인터넷폰 업체들은 최근 프리즘커뮤니케이션.SK텔링크.미디어드림 등 통신업체와 각각 제휴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했다.

다음달부터 선보일 새 서비스로는
원클릭 인터넷폰
인터넷 전화기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 등이 있다.
주로 기업이나 소호 등 국제전화를 많이 이용하는 집단이 마케팅 대상이다.

물론 기존 일반인용 인터넷폰은 당분간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앞으론 서비스가 보급형과 고급형 등 2원체제로 운영된다.

원클릭은 컴퓨터를 켜면 한 번에 인터넷폰으로 연결되고, 기존 상품보다 속도나 통화품질이 향상된 서비스다.

인터넷폰 기능을 담은 인터넷 전화기는 일반 전화나 휴대폰처럼 그냥 수화기를 들고 번호를 누르면 국제전화가 걸리는 제품이다.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는 인터넷폰 업체의 새 주력 상품. 기존 통신업체와 연계해 음성통화나 데이터 전송을 값싸게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다.

예를 들어 인터넷폰을 사용하다가 e-메일을 보내거나 동영상 화면을 보며 통화하는 상품들이다.

특히 문자.음성메시지는 물론 자동응답.온라인 채팅 등 기존 전화나 휴대폰의 부가 서비스로 점차 확대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