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새 월세 전환 전세 급증

조인스랜드

입력

[권영은기자] 최근 10년 사이 주택 전세가 줄고 월세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보유율이 제자리걸음을 한 것을 고려하면 전세가 월세로 상당 부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9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작성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결과 심층분석을 위한 연구`를 보면 2000년 당시 주택점유 형태 중 전세 비율이 28.2%였으나 2010년엔 21.7%로 떨어졌다.

저금리 영향…집주인들 "월세로 돌리자"

같은 기간 월세 비율은 12.6%에서 20.1%로 올랐다. 자가 비율은 이 시기에 54.2%를 유지했다. 전세가 줄고 월세가 많아진 것은 저금리 등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택유형별로 보면 단독주택의 전월세 전환이 활발했다.

단독주택의 전세 비율이 10년 사이 9.6%포인트(30.1%→20.5%) 내렸다. 월세는 14.3%포인트(15.1%→29.4%)나 올랐다. 자가 비율이 그 사이 48.1%에서 44.6%에서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전세 감소분 대부분이 월세가 된 것으로 추산된다.

아파트는 자가와 전세 비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다. 자가 비율이 2000년 61.6%에서 2005년 64.8%로 상승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하강하자 2010년엔 그 비율이 63.4%로 떨어졌다.

전세 비율은 자가 비율이 오른 2000~2005년에 26.1%에서 20.7%로 내렸지만 5년 후인 2010년엔 21.6%로 소폭 올랐다. 월세 비율은 2000년 9.3%, 2005년 11.7%, 2010년 12.3%로 꾸준한 오름세를 보였다.

연립주택은 자가 비율 감소분을 전세와 월세가 흡수했다. 자가 비율이 2000년 66.8%에서 2005년 66.9%로 큰 변함이 없다가 2010년 62.5%로 떨어졌다. 그 기간에 전세(22.5→24.0%)와 월세(6.3%→9.5%)가 상승했다.

주택 이외 거처의 월세 비중도 눈에 띄게 확대됐다. 주택 이외의 거처는 기숙사, 특수사회시설(수녀원, 양로원), 공사자의 임시막사, 토굴 등을 뜻한다.

2000년 당시 무료 거주 등 비율이 30.3%였는데, 2010년엔 7.9%로 급감했다. 그 대신 월세 비율이 29.0%에서 53.7%로 크게 올랐다.

자가비율은 오히려 감소

주택 수 변화를 보면 아파트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00년 523만1000가구에서 2010년 857만6000가구로 급증하면서 전 주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7.7%에서 58.4%로 확대됐다.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도 같은 기간 126만6000가구에서 185만가구로 증가했다. 단독주택은 406만9000가구에서 408만9000가구로 비슷한 수를 유지해 비중은 37.1%에서 27.9%로 떨어졌다.

주거환경은 단독주택의 개선이 괄목할 만했다. 아파트나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은 10년이나 최근이나 거의 모두 현대식 부엌, 수세식 화장실, 온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었다.

단독주택은 현대식 부엌을 갖춘 비율이 2000년 88.9%에서 2010년 96.5%로 올랐다. 수세식 화장실 보유 비율은 이 기간 75.1%에서 92.5%, 온수시설은 77.2%에서 94.4%로 각각 크게 올랐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