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정보 구멍, 원세훈 책임 언급한 김황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황식 국무총리는 22일 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을 뒤늦게 파악한 데 대해 “국민들 입장에서 여러 아쉬운 점이 있었기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국회 긴급현안 질의에 출석해 “정보 업무에 구멍이 났으니 원세훈 국정원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한나라당 김동성 의원의 지적엔 “행정·사법·정치적 책임을 구분해서 접근해야 한다”며 “(그중)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정치적 책임이란 결국 사퇴를 뜻하는 걸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총리실 관계자는 "도덕적 책임을 강조한 원론적 수준의 언급이었다”고 밝혔다.

 질의에서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국정원이 17일 아침 청와대에 김정일 사망과 관련한 첩보를 알렸지만 청와대는 ‘정확한 증거를 대라’며 묵살했다”며 “백악관 인사도 비슷한 시간 외교부 김모 서기관에게 이를 전했지만 김 서기관은 상부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국정원으로부터 그런) 보고를 받은 사람이 없다”며 “미국 백악관 고위 관계자도 ‘나도 (조선중앙TV) 뉴스 보고 알았다’고 했다”고 반박했다. 박 의원은 또 “김 위원장은 아침 8∼9시에 침대에서 일어나 마사지를 받아야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반신불수”라며 “17일 오전 8시30분 달리는 열차에서 숨졌다는 (북한 측 공식 발표는) 100% 허구”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후 통화에서 “김정일은 16일 새벽 1시30분에서 2시 사이에 기차가 아닌 평양 근처 자모산 별장에서 숨졌다”고 주장했다.

양원보·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