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뉴타운 8개 구역 없던 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지난달 시작된 경기도 뉴타운사업에 대한 주민의견 조사 결과 반대율이 25%를 넘어 사업을 취소하는 구역이 잇따르고 있다.

 경기도는 2007년부터 12개 시 옛 도심에 23개 뉴타운지구를 지정해 사업을 추진했으나 군포 금정, 평택 안정, 안양 만안, 김포 양곡, 오산, 시흥 대야신천 등 6개 지구가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이 백지화됐다. 현재 남아 있는 뉴타운은 17개 지구에 165개 구역이다. 경기도는 이 가운데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은 90개 구역을 대상으로 주민의견 조사에 들어갔고 11개 구역에 대한 조사를 끝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남양주 퇴계원지구의 경우 5개 구역에서 반대율이 58.5~82%에 달했다. 부천시도 소사·원미·고강 등 3개 지구의 6개 구역을 조사한 결과 소사지구 1개 구역, 원미지구 2개 구역 등 3개 구역의 반대율이 28.7~35.6%였다. 이에 따라 남양주시와 부천시는 반대율이 25%를 넘은 8개 구역을 뉴타운사업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이는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은 구역의 토지·주택 소유자 25% 이상이 반대하면 사업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한 경기도의회의 조례에 따른 것이다.

이춘표 경기도 뉴타운사업과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성이 크게 떨어져 앞으로 상당수 구역이 뉴타운에서 해제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